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해 한용운의 선(禪) 의식을 중심으로 본 근대성과 탈근대성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Modern Korean Buddhism-Focusing on Seon Thought of Ven. Han Yong-un 韓龍雲-)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5.08
28P 미리보기
만해 한용운의 선(禪) 의식을 중심으로 본 근대성과 탈근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41호 / 79 ~ 106페이지
    · 저자명 : 박재현

    초록

    만해 한용운에 대한 기존의 연구경향은 대개 그가 항일민족주의자 혹은 근대의 개화 지식인이었다는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주제는 해방 이후 주도된 반일과 항일의식에 기초한 것으로, 그의 생애와 사상에서 나타나는 다른 측면들을 배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의 생애와 사상이 전통-근대-탈근대에 걸쳐져 있다는 사실을 논구하고자 하였다.
    만해의 청년기는 유학적 전통질서와 동학으로 상징되는 근대질서가 교착되는 시기였다. 그의 청년기는 이 가운데 어느 한쪽에도 기대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청년기 이후 그의 이력은 유신(維新)으로 상징되는 근대적 가치관을 수용하는 태도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아시아의 근대는 곧 제국주의를 동반하는 것이어서, 민족주의 노선과 사회주의 노선에서 이러한 흐름에 대한 문제의식이 제기되었다.
    만해 당시의 한국 종교계는 이 두 노선 가운데 어느 쪽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웠다. 종교는 민족과 국가라는 경계 바깥을 지향했고, 사회주의는 반종교(反宗敎)를 내걸고 있었기 때문이다. 제국주의에 맞서는 또 다른 방식이었던 아나키즘(anarchism)이라는 탈근대적 노선은, 종교계의 지향점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었고, 종교계에 몸담고 있었던 한국 근대의 지성인들이 다수 이 노선에 참여한 사실도 확인된다.
    만해를 탈근대적 맥락에서 읽어도 좋을지는 여전히 논란이다. 하지만 소설 『박명(薄命)』 등 그의 유문(遺文)에서 국가나 사회라는 추상적 대상보다 개인과 생명을 중요시하는 맥락이 다수 발견된다. 또 이러한 시각이 선(禪) 의식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아나키즘을 특정한 이념이 아니라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어떤 바람이나 운동 정도로 규정한다면, 탈근대적 맥락에서 만해를 독해하고 그에 대해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ies on the Han Yong-un 韓龍雲 have concentrated o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oet or modern nationalism. But to understand hi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all its aspects, the careful analysis of his life and works as the outcome of the post-modern thought is required. In his adolescence, he did not know what to do in the future. He met the enormous conflict between the ‘Modernity’ and ‘Tradition’ specifically, the Dong Hak 東學 revolution and Confucian tradition.
    The enlightenment thought and imperialism were two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in modern Korea. Han Yong-un’s enlightenment thought have converged on Yu sin 維新. But he did take imperialism seriously. The resistance to imperialism in his time was spearheaded by the ideological line of the Korean nationalism and socialism. The religious denominations could not take part in entirely these movements. The religion can not support the communist government’s anti-religious movement. And the religious direction is not confined to ethnic groups or the state.
    The post-modern anarchist movement spread through the modern Korean intellectuals and religious denominations. The post-modernity appeared in the life and thought of Han Yong-un is still under debated. But if we regard anarchism as a kind of dream or movement against imperialism, we can find clearly the characteristic of post-modernity in his work. In addition, we can understand that his post-modernity was based on Seon 禪.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