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선악(勇善惡) 개념 정립을 위한 동해안무가 분석 (A Study of Yong(勇/ Intrepidity)·Seon(善/ Goodness)·Ak(惡/ Evil) in DonghaeanMooga(Song of a Sham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용선악(勇善惡) 개념 정립을 위한 동해안무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47호 / 103 ~ 130페이지
    · 저자명 : 심상교

    초록

    본고는 서사작품을 분석하는 한 관점으로 용선악(勇善惡)이라는 용어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고는 용선악의 개념 정립을 위한 첫 단계가 되고 그 제안의 확립을 위해 동해안굿 무가 중에서 서사적 성격이 두드러진 무가와 용선악의 의미를 관련지어 분석한다. 서사작품에서 서사전개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갈등이다. 그 갈등은 선악대결에서 연유하고 선악대결의 제양상은 용(勇)의 개념과 연관된다고 생각한다. 즉 용선악의 작용으로 갈등이 형성되고 갈등은 서사작품이 전개되는 근간을 형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용선악→갈등→서사’의 도표가 서사작품 일반을 설명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과 선악을 상호 등가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지는 않는다. 용은 선악을 둘러싼 채 혹은 선악의 내부에서 상호 융합하며 선악이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근원적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선악의 대결을 작품 속의 선과 악의 대결로 설명할 수도 있고, 작품 속 주동인물과 반동인물의 대결로도 볼 수 있는데 두 인물이 대결하는 힘이나 대결의 장(場)을 용으로 보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작품 속에서 밀고 당기는 두 힘이 선악대결이고 밀고 당기는 장력을 용으로 보는 것이다. 서사작품의 근간을 형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일 것인데 본고는 그 요소 중에 핵심 되는 것을 용선악(勇善惡)으로 보는 것이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동해안무가는 동해안별신굿의 세존굿에서 불려지는 당금애기와 손님굿에서 불려지는 손님의 노정기, 동해안오구굿에서 불려지는 바리데기 등이다.
    선악대결은 권선징악적 관점, 대비효과의 관점, 구속과 헤어남의 관점, 두려움과 연민의 관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이어 용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권선징악에서 권(勸)과 징(懲)은 용(勇)이 되고 선악은 갈등의 요인이나 인물의 행동의 근원이 된다. 권장해야하는 것과 징벌해야 하는 것을 구분지어 주는 판단이 용이여 선악 판단에 따라 행동을 추동하는 힘이 용인 것이다.
    용은 포괄성과 촉매적 특성을 지녔다. 이 두 특성은 동시에 발현되고 작용한다. 포괄적이라는 것은 용이 갈등을 유발하는 과정에 작용하면서 동시에 갈등을 해소하는 과정에도 작용한다는 의미다. 용의 촉매적 특성은 선과 악이 이런 의미로 작용할 때 용은 선과 악을 조정하며 선과 악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추동하는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he first step to establish the concept of Yong(勇/ Intrepidity)·Seon(善/ Goodness)·Ak(惡/ Evil). I suggest the term "Yong·Seon·Ak" as a perspective for analyzing narrative works. Therefore,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in establish the concept of Yong·Seon·Ak. For this purpose, I analyze DonghaeanGut, the song of the shaman.
    The basis of narrative works is conflict. The conflict is driven by a confrontation between the good and bad, and this confrontation is stimulated by the concept of Yong. In other words, conflicts are formed by the action of chartered evil, and conflict forms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works. The chart of 'Good and Evil → Conflict → Narrative Works' is established. Yong, good and evil are not terms of the same status. Yong is a mutual fusion of good and evil, as well as the fundamental energy of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The confrontation between good and evil can be seen as a confrontation between a main character and a reactionary person in the work, or a power of confrontation between two characters or a field of confrontation. In the same context, two forces pushing and pulling in the work can be seen as good and bad confrontation, and tension pulling and pulling. There are many factors that form the basis of narrative works. This paper demonstrate what is at the core of the factor as Yong·Seon·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