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전기 현생인류의 석기제작기술체계 연구* – 일본열도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logical System of Stone Tool of Homo Sapiens Sapiens in the Early Upper Paleolithic of East Asia - Focusing on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Japanese Archipelag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5.02
38P 미리보기
동아시아 후기구석기시대 전기 현생인류의 석기제작기술체계 연구* – 일본열도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문화 / 12권 / 3 ~ 40페이지
    · 저자명 : 이헌종, 최동혁

    초록

    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몽골일대의 IUP 돌날기술체계는 자체적인 진화를 이루어 EUP 시기에 정착되었을 뿐 아니라 시베리아와 내몽골 및 동아시아에도 확산되었다. 일본열도에는 크게 쐐기형몸돌군과 각주형몸돌군으로 나뉘며 그 안에서 다양한 소형몸 돌기술체계가 포함되어 있다. 쐐기형몸돌군은 관동지역과 동북-홋카이도지역에, 각주 형몸돌군은 관동지역, 동북-홋카이도지역, 서일본지역에 모두 분포한다. 박리기법은 수직박리에 기초한 힌징기법이 활용되어 곧은 돌날을 생산하였다. 한편 코우사카야마 유적의 횡단면몸돌, 측면형몸돌, 새기개형몸돌과 같은 소형몸돌군 기술체계 내에서도 대형돌날이 함께 공반되거나 무카이다 A유적, 온바라 I유적 등에서 대형돌날과 함께 소형 각주형몸돌이 공존한다. 하지만 이 소형돌날몸돌 중에서 카라콜유형에서처럼 세 형돌날몸돌로 진화할 수 있는 몸돌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르발루아 기술이 남아있는 원판형몸돌체계는 코우사카야마 유적, 수양개 VI지구 3, 4문화층, 카라-봄유형의 EUP 유적인 카라 테네쉬유적 등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양상은 카라-봄 유형의 돌날기술체계 가 확산되면서 시베리아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도 EUP 시기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이라고 추정된다.
    알타이지역에서 발원한 카라-봄유형과 카라콜유형의 돌날석기제작기술은 몽골, 중 앙아시아, 시베리아일대, 중국 내몽골 등 아시아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유적 들과 비교할 만한 유적들이 한반도와 일본열도 등 동아시아에서도 확인되었다. 일본열 도의 돌날석기문화는 37∼30ka B.P.에 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몽골, 내몽골, 우리나라 의 수양개 VI지구 3문화층 등 카라-봄유형의 돌날기술체계가 동아시아로의 확산과정 에서 정착한 카라-봄 유형의 발전형의 한 지역적 형태로 판단된다. 이는 현생인류의 이주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영어초록

    The IUP blade industry in North Asia, Central Asia, and Mongolia evolved on its own and became established during the EUP, and also spread to Siberia, Inner Mongolia, and East Asia.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BT-1(wedge type core group) and the BT-2(prismatic type core group), which include various small bladecore technological system. The BT-1 group is distributed in the Kanto region and the Tohoku-Hokkaido region, and the BT-2 group is distributed in the Kanto region, the Tohoku-Hokkaido region, and the Western Japan region. The reduction stratagy utilized the hinging technique based on perpendicular flaking to produce straight blades. On the other hand, large blades are also found together in the technological systems of small bladecore group, such as the truncated-faceted pieces, narrow-faced core, and burin type core of the Kousakayama site, or small prismatic and conical type cores coexist with large blades at the Mukaida A site and the Onbara I site. However, among these small bladecores, there are no cores that can evolve into microblade core like the Karakol variant. Discoid core system based on Levallois technology are confirmed in the Kosakayama site, Suyanggae Loc. VI 3rd, 4th cultural layers, and Kara-Bom type EUP site Kara-Tenesh. It is presumed that this aspect appeared in the process of the Kara-Bom variant blade technological system spreading and settling in East Asia as well as Siberia during the EUP. The blade industry of the Kara-Bom and Karakol variant, which originated in the Altai region, spread to various regions of Asia region such as Mongolia, Central Asia, Siberia, and Inner Mongolia in China. Paleolithic sites comparable to these ones have also been confirmed in East Asia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blade industry of the Japanese archipelago is considered to be a regional form of the Kara-Bom variant,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advenced type of the Kara-Bom variant blade technological system of North Asia, Central Asia, Mongolia, and Inner Mongolia with Korean Peninsula(3rd cultural layer of Suyanggae loc.Vl) to East Asia around 37∼ 30ka B.P. This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migration of anatomically modern hu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