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시기 외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신지식의 수용과 재생산 - 송헌석의 저술을 중심으로 - (Acceptance and Reproduction of New Knowledg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Books in The 1900s -Focusing on Song Heon-seok's writi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0.05
36P 미리보기
근대 시기 외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신지식의 수용과 재생산 - 송헌석의 저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1권 / 2호 / 211 ~ 246페이지
    · 저자명 : 주현희, 채영희

    초록

    조선 사회는 1876년 개항 이후 밀려오는 서양의 신문물과 신지식을 수용하고 전통적 가치관에서 탈피하여 근대적 사고방식을 형성해 나갔다. 개항 이전에는 주로 중국의 지 식을 수용하거나 중국을 통해 서양의 서적과 신문물을 받아들여 이를 모방하거나 변용 하면서 점차 근대 지식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후 점차 중국, 일본에 의존한 지식의 수 용에서 벗어나 외국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외국어 서적을 번역하고 여러 국가 로 유학생을 파견하여 신지식과 신문물을 직접 수입하고자 하였다. 한편 근대 이전에는 중국을 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그 외의 국가들은 양이, 오랑캐 등 으로 치부해왔으나 1876년 개항 이후 서양 세계의 근대 문물을 접함으로써 조선 사회의 세계관에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인들에게 인식 속에 내재되어 있던 세계 지도는 근대 지 식과 신문물을 통해 재구조화 과정을 거쳐 새롭게 그려졌으며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인 식했던 세계는 서구 유럽으로까지 확장되어 나갔다. 이러한 확장된 근대의 시공간 속에 서 다양한 문물과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이를 나타낼 새로운 언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 한 다양한 신문물의 소비와 유통은 새로운 지식구조의 형성뿐만 아니라 직업 세계의 확 장도 초래하였다. 한국은 농경사회에서 벗어나 신문물을 제조하는 산업사회로, 그리고 이를 소비하는 물질문명세계로 전환하게 되었다. 한편 새로 접하게 된 문물과 신세계에 대한 명명이 필요했으며 이에서 파생한 다양한 관념들에 대한 명명 또한 급속도로 이루 어졌다. 그리고 이를 위해 많은 새로운 단어들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다시 근대 언어 교육과 지식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송헌석(1880?-1965?)은 이러한 근대 시기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서 근대 시기의 신 지식의 도입과 재생산에 기여한 신지식인의 한 사람이었다. 그가 저술한 외국어 학습서 를 통해 근대 시기의 새로운 어휘와 개념의 수용 및 재생산 양상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the Joseon society has adopted Western newspapers and new knowledge,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values and forming a modern way of thinking. Prior to the opening of the port, he gradually developed into modern knowledge, either by accepting Chinese knowledge or by accepting Western books and newspapers through China.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gradually sought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foreign language skills, gradually breaking away from the acceptance of knowledge dependent upon China and Japan, to translate foreign language books and send students to various countries to import new knowledge and new culture materials. Meanwhile, the Korean society, which used to treat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as the exclusion of foreigners and barbarian before modern times, has changed its outlook on the world since its opening in 1876. The world map, which was embedded in Koreans' perceptions, was newly drawn through the restructuring process through modern knowledge and new culture, and the world, which was recognized around East Asia, expanded to Western Europe. Within this extended modern space of time, various cultures and concepts were formed and a new language was needed to represent them. In addition,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various new culture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new knowledge structures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professional world. Korea has moved away from the agrarian society to an industrial society that manufactures new culture and to a material civilization that consumes them. The new culture and the need for a name for the new world were needed, and the naming of the various concepts derived from it was also rapid. And many new words were created to do this, which in turn affected the formation of modern language education and knowledge structure. Song Heon-seok (1880?-1965?) was one of the new intellectuals who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new knowledge in modern times through various writing activities during these modern times. Through the foreign language study book he wrote, we looked at the introduction of new vocabulary and the acceptance and reproduction of concept in the moder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