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荀子』 注釋史 一考 -『荀子』 및 순자사상 연구의 접근법을 중심으로- (An External Study on『Shunzu』-Focus on Approaches of Studies on『Shunzu』 and His Though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荀子』 注釋史 一考 -『荀子』 및 순자사상 연구의 접근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51호 / 287 ~ 318페이지
    · 저자명 : 한예원

    초록

    『荀子』는 유교적 인간론과 정치론의 기본 틀을 제시하는 핵심 텍스트이다.순자의 유교정치론을 이해하면, 전통 유교 사회에서의 윤리학과 정치학과 나아가 유교 교육론의 여러 국면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학을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荀子』는 간과할 수 없는 고전이다. 동아시아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제자백가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荀子』를 중심에 설정하지 않을 수 없고, 실제로 중국 및 일본에서는 동양철학 텍스트 중 『논어』다음으로 많이 읽히고 연구되는 것이 『荀子』이다. 그만큼 다양한 주석서가 출간되어서 텍스트의 재해석이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이래 주석서가 전무하다. 『荀子』가 조선에서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는 성리학적 도통론의 입장에서 ‘맹자 중심’의 학문 전통이 계속되면서 『荀子』수용에 소극적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荀子』텍스트의 難讀性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난독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의 내용을 연구하는 ‘내적연구’ 못지않게 텍스트의 문헌학적 연구인 ‘외적연구’의 성과를 다양하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한문을 읽는다는 것은 주석을 따라 읽는 것이라고 말하여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축의 시대에 이루어진 제자백가서는 긴 시간에 걸쳐 다양한 사람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여러 가지 문서가 한권의 책으로 편집되는 ‘문헌학적 변화’를 이해하지 않고 그 내용을 정확히 해독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런 고전학의 전개를 알리기 위하여 책마다 ‘序’ ‘前言’ ‘附錄’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각 저본의 특색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저자들이 남긴 ‘序’ ‘前言’ ‘附錄’ 등의 문서를 중심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외적연구’의 중요한 방법적 축이 된다. 소고에서는 최근 『荀子』연구의 집대성본이라고 할 수 있는 王天海의 『中華要籍集釋叢書-荀子校釋(上,下)修訂本』를 참조하여 순자 및『荀子』연구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전의 재해석을 통하여 시대적 과제를 해결할 유효한 관점 및 방법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Shunzu』 is a central text which provides basic frames for Confucian doctrines of man and political theory. If we understand Confucian political theories in 『Shunzu』, we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diverse aspects of Confucian education theories including ethics and political theory. Therefore, in the process to reinterpret Confucianism in modern perspective, 『Hsun tzu』 is a very important classic book. To understand Hundred Schools' thoughts which were bases of East Asian thoughts, 『Hsun tzu』 is an important base. In China and Japan, it has been read and studi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he Analects of Confucius』. Diverse commentaries were published for continuous reinterpretation of the text. However, there were no commentaries in Korea except those of Joseon period. 『Hsun tzu』 was not actively accepted as the Works of Mencius were considered as central in terms of Confucian Daotong theory and it was hard to understand the text. To overcome such desultory reading, results of external study as well as internal study on the text are needed. It was not exaggeration to say that reading Chinese characters is equal to reading commentaries. Hundred School Books as Chinese classics have been made by many people for such a long tim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exactly understand the contents without understanding a philological change that diverse documents are compiled into one book. To show development of the classics, each classic book is composed of a preface, a message and an appendix. Therefore, an important way to do an external study is to examine prefaces, messages and appendixes presented by authors that contain characteristics of each book. This study speculated on diverse approaches of studies on 『Shunzu』 by referring to 『Revision of the Junghwayojeokjipseokchongseo-Hsun tzu Gyoseok(the first volume and the last volume)』 by Wang Chon-Hae as a summation of studies on 『Hsun tzu』. It is expected that effective perspectives and methods to deal with new tasks to humanities of the 21st century will be achieve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classical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