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초고공예에 관한 연구 - 강화 화문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Straw Handicraft - Focused on Kangwha Hwamunseok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1.12
14P 미리보기
한국 초고공예에 관한 연구 - 강화 화문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14권 / 4호 / 23 ~ 36페이지
    · 저자명 : 정경연, 유금자

    초록

    초고공예(草藁工藝)는 원시인류가 자신들의 자연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를 가지고 생활용구를 제작하여 생활에 활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한국의 초고공예는 한국의 자연과 그 자연조건을 기반으로 한 한국인의 문화적 자산이다. 한국의 초고공예에는 한국이 벼농사 국가로서 농사의 잉여물인 볏짚의 활용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볏짚과 더불어 한국의 자연에서 얻은 섬유질이 강한 풀의 줄기나 덩굴, 나무껍질 등이 사용되었다.
    화문석은 초고공예품 중에서 특수한 지배 계층을 위해서 제작된 것으로, 고려시대 이전부터 여러 지역에서 생산되었으나 지금은 전라남도 함평과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겨우 그 맥을 잇고 있다.
    강화군의 화문석이 오늘날처럼 유명해진 시기는 1700년 이후이다. 강화군 교동면의 꽃돗자리가 오늘날 강화 화문석의 전신이다. 그러나 이 꽃돗자리는 지금의 강화 화문석과는 다른 용수초를 가지고 짠 등메를 의미한다. 강화는 고려시대 몽고 침략 이후, 고려의 수도 역할을 하면서, 중국에 진상품과 왕실과 특수층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서 화문석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강화의 화문석은 용수초 대신 완초를 가지고 노경소직에 시문하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완초는 강화군의 송해면, 양사면, 길상면, 내가면 등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당산리, 양오리 일대는 완초공예품을 제작하는 민가가 가장 많은 곳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103호 완초장 이상재, 완초 화문석 기능 전수자 서순님, 그리고 완초 보존회 회원들의 완초공예품 제작 활동이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강화군의 완초공예는 조상대대로 해 오던 완초공예에 대한 애정이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동시대인들에게 생활에서 멀어진 우리의 소중한 유형문화적 자산인 화문석에 대해서 의미를 부여하고 재해석하여 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초고공예품 중에서 강화 화문석의 가치와 제작 실태와 그리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Plant and straw crafts are originated from making daily life tools with natural materials that primitive people could get from their natural environment. Korean plant and straw crafts are cultural assets of Korean people, which are based on the nature and natural conditions of Korea. They are characterized with application of straws that are surplus of farming since Korea was a nation of rice farming. Along with straws, stems and vines from plants and the bark of a tree, which are obtained from nature of Korea and have strong fiber, are used as well.
    Hwamunseok among plant and straw crafts was produced for special ruling class, and it was produced in several areas before the time of Goryeo Dynasty, but now it is barely carried on in Hampyeong in Jella Namdo and Kanghwagu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time when hwamunseok in Kanghwagun becomes popular like today was after year 1700. Kkotdotjari is first form of hwamunseok in Kanghwa. However, this kkotdotjari means rush mat fringed with cloth woven with yongsucho which is different from hwamunseok. Kanghwa played a role of a capital of Goryeo after invasion of Mongolia in the time of Goryeo Dynasty and produced hwamunseok in order to cover the goods that were presented to the king of China and the demand of royal family and special classes in China. As a result, hwamunseok in Kanghwa developed new ways of weaving poetry and prose with wancho, which is the way of weaving that the longitude is moderately woven to be outward.
    Currently, wangcho is grown in songhaemyeon, yangsamyeon, kilsnagmyeon, and naekamyeon in Kanghwa, and among them, dangsanli and yangoli are the places where the highest number of private houses produce wancho craft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03 wancho master craftsman Lee Sang Jae, a wancho hwamunseok function initiator Seo Soonnim and members of Wancho Preservation Association mainly produce the works by centering on these areas. Great affection for wancho craft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plays a great role in wancho crafts in Kanghwagun.
    The researcher thinks that we need to give meaning to hwamunseok which is tangible cultural asset which is far from the life of people now and reinterpret it so that we understand how we can create new values of this that is appropriate to the time.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attempts to seek for value of Kanghwa hwamunseok among other traditional plant and straw crafts that represent Korea, the reality of its p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