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典牲暑의 인적구성과 기능 - 黃胤錫의 <頤齋亂藁>를 중심으로 -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Jeonsaengseo(典牲暑)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Hwang, Yeon-seok(黃胤錫)'s "Ijaenango(頤齋亂藁)")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8.08
30P 미리보기
18세기 典牲暑의 인적구성과 기능 - 黃胤錫의 &lt;頤齋亂藁&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3권 / 159 ~ 188페이지
    · 저자명 : 노혜경

    초록

    조선시대는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내세운 만큼 국가제사 또한 이를 기반으로 시행되었다. 전생서는 이런 국가제사의 희생동물의 공급을 담당했으므로 안 될 중요한 관서였다.
    본고는 황윤석이 쓴 일기인 『이재난고』 가운데, 그가 전생서 主簿를 맡았던 1786년(정조 10) 기록을 중심으로 당시 전생서의 인적구성과 운영 모습을 살펴본 것이다.
    전생서는 고려시대의 掌牲署를 계승하여 국초에 ‘典廐署’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1460년(세조 6)에 전생서로 이름이 바뀌었고, 관서는 남대문 밖 남산 남쪽 屯智坊에 설치되었다. 『경국대전』에는 예조의 종6품아문으로서, 제조 1명, 주부 1명, 직장 1명, 봉사 1명, 참봉 2명, 서리 8명, 庫直 3명, 사령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황윤석이 전생서에 있었던 당시에는 제조, 주부, 직장, 봉사 각각 1명, 그 외 吏隸가 근무하고 있었다. 이후 1797년(정조 21)에는 주부를 判官으로 승격시킴으로써 종5품아문이 되었다. 1865년(고종 2)의 『대전회통』에는 전생서의 관원을 대폭 감원하여 제조 1명, 판관 1명, 직장 1명, 부봉사 1명만이 배치되었다가 1894년 관제개혁으로 모두 폐지되었다.
    전생서의 三官은 蔭官 자리로 당시에는 士大夫 중 庶類들이 많이 가는 자리였다. 특히 주부는 음관 중에서도 지벌이 좋고 명망 높은 자가 임명되었고, 외방 수령으로 나아가기 좋은 위치였다. 전생서의 실무를 맡고 있던 吏隸 21명 중에서 15명이 당시 권세가의 廳直이나 下人이었다. 권세가의 청지기로 전생서의 서원이 된 이들은 전생서의 官屬 중에서 상급서리에 해당되었는데, 都家를 중심으로 경제적인 이득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특이한 것은 황윤석이 근무하던 당시 전생서 서리들과 연관된 권세가들이 대개가 남인과 소론계였다는 점이다.
    전생서의 관원은 帽子, 曆書, 試紙, 黃燭, 땔감, 무(菁根), 賻儀品, 丘價 등을 공식적으로 지원받았다. 三官은 3일씩 入番했고, 掌務官은 주부가 初旬, 직장이 中旬, 봉사가 下旬을 맡았으며, 이들은 전생서 제조와 예조당상에게 褒貶을 받았다. 전생서의 업무분장을 보면 주부는 소, 직장은 양, 봉사는 돼지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했다. 종묘를 비롯한 각 종의 정기제사와 특별제사 등에 쓰이는 희생물도 그 종류에 따라 담당 관원이 進拜했다. 한편 영조 때부터 시작된 省牲의 親行으로 인하여 희생의 상태에 대한 책임이 더욱 무거워졌다.
    전생서의 희생물은 元貢을 통해 조달되었고, 희생물의 원공 수효는 정기적인 제사에는 충분했지만 부정기적 제사에 까지 항상 충분하지는 않았다. 전생서에서 항시적으로 기르는 수효를 통해 이런 유사시를 대비했다.
    본고는 황윤석이 전생서주부로 재임했던 짧은 기간의 기록이라는 점과 개인일기라는 자료상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그의 기록벽과 꼼꼼한 성격에 힘입어 전생서 인적구성의 많은 부분을 찾아낼 수 있었고 관찬사료에서 볼 수 없는 이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전생서의 재정적인 운영과 권세가의 겸인으로 중앙관서의 서리가 된 부류에 대해서는 후고를 준비할 예정이다.

    영어초록

    Joseon government had performed many national rituals based on Confucianism. Jeonsaengseo(典牲暑:office of Sacrifice) in charge of animal sacrifices was one of important departm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Jeonsaengseo recorded in Hwang, Yeon-seok(黃胤錫)'s "Ijaenango(頤齋亂藁)" in the 18th century.
    Jeonsaengseo was originally founded in 1392, started with the name of 'Jeonguseo(典廐署) in succession to Gorye(高麗) Dynasty's 'Jangsaengseo(掌牲署)', and acquired its name in 1460. The office building was located in Dunjibang(屯智坊) outside Southern Gate(南大門).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Complete Code of Law)" shows that Jeonsaengseo was organized with 1 Jejo(提調), 1 Jubu(主簿), 1 Jikjang(直長), 1 Bongsa(奉事), 2 Chambong(參奉), 8 Seori(書吏), 3 Gojik(庫直) and Saryeong(使令). But when Hwang, Yeon-seok was served as Jubu, it consisted of 1 Jejo, 1 Jubu, 1 Jikjang, 1 Bongsa, and some Yije(吏隸;petty official and clerk).
    Three posts of Jeonsaengseo(Jubo, Jikjang, Bongsa) were regarded as Eumgwan(蔭官;protected officials) and filled mostly with illegitimate birth(庶類) among the literati class(士大夫). Particularly well-reputed Eumgwan(蔭官) easily earned the position of Jubu which had a good chance of being promoted to a local Suryeong(守令:magistrate). There were 21 Yiye out of whom 15 people were Cheongjik(廳直:house steward) of Gweonsega(權勢家:top officials), taking charge of tribute. It is notable that most of the people linked with Seori were Namin(南人) and Soron(少論).
    Officials of Jeonsaengseo received benefit of many stuffs like a hat, a calendar, some paper, firewoods, vegetables, and etc. They had to work for 3 days in turn and were on 10 days duty every month. They should get their evaluation by Jejo(提調) and Yejo(禮曹:Ministry of Rites) Dangsang(堂上:Senior Third Rank). Their work was separated; Jubo took care of matters on cattle, Jikjang on lambs and Bongsa on pigs. Their responsibility for animal status was much heavier than ever as the King Youngjo(英祖) began to check up the sacrifice himself. Making money with beans to fed sacrifice animal was one of their job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Jeonsaengseo from Hwang, Yoon-seok's detailed diary, Ijaenango and offers insights into the process that Seori kept trying to make their own class by connecting with Gweonsega and taking control of working level administrative jobs and economic concession in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