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생의 서술형 강의평가 분석 (Analysis of Students’ Open-Ended Course Evaluation Using Topic Modeli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9.06
32P 미리보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생의 서술형 강의평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교육연구 / 20권 / 2호 / 491 ~ 522페이지
    · 저자명 : 곽민호, 민혜리, 김미림

    초록

    이 연구는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의 일종인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이하 LDA)을 활용하여 S대학교의 학생들이 작성한 강의평가 응답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갖고 있는 강의에 대한 생각을 보다 직접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학기에 개설된 약 1,500개 강의에 대해 학생들이 ‘강의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과 ‘강의에서 좋았던 점’에 대해 서술한 약 47,000개의 응답 내용을 LDA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6개의 단과대학(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사범대학,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강의의 개선되어야 할 점, 좋았던 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의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과 ‘강의에서 좋았던 점’ 모두 3개 주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강의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은 1) 과제·실험·실습에 대한 개선사항, 2) 발표·토론에 대한 개선사항, 3) 시험·진도·수업내용에 대한 개선사항의 세 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강의에서 좋았던 점’은 1) 교수자·교수방법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 2) 직접적 경험·실습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 3) 강의내용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의 세 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단과대학별 분석 결과, 단과대학별로 나타난 주제의 의미는 대체적으로 전체 대학 자료를 분석했을 때와 비슷했으나, 하나의 주제 정도가 단과대학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강의평가의 선택형 문항 분석에 치중하였던 기존 연구와 달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함으로써 대량의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를 효율적으로 요약하였으며, 이를 통해 강의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보다 직접적이고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This study used 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topic modeling to analyze the students’ open-ended responses regarding the survey of course evaluations. The survey asked the students to describe the unsatisfied and desirable aspects of the courses. 47,000 responses for 1,500 cour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5 at S University were analyzed. The college-level analysis was perform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selection results based on DIC suggested that three-topic model was most suitable for both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s about course evaluations. Specifically, the three topics of negative feedback are as follows: 1) Improvements of tasks, experiments, and exercises; 2) Improvements of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3) Improvements of the test, progress, appear. Also, the analysis of the desirable aspects suggested three main topics: 1) positive feedback on teaching and teaching methods, 2) positive feedback on direct experience and practice, and 3) positive feedback on the quality of the lecture. Second, for the result of the college-level analysis, except a topic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ach college, the extracted topics from the responses of each college were similar to the topics extracted from the whole combined response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selected responses regarding course evaluation in that it mainly focused on the open-ended responses of the students. As a result, The study might reveal the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s of the course evaluation which the previous studies have not suggested y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