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연결사회의 학습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 Learning Styles in accordance with a Hyper-Connected Socie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7.12
24P 미리보기
초연결사회의 학습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교육종합연구 / 15권 / 4호 / 233 ~ 256페이지
    · 저자명 : 정영주

    초록

    초연결사회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공지능이 교육에 활용되고 다양한 최첨단 기술이 수업에 접목되면서 학습자들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서 벗어나 지식을 활용하고 접목함으로써 지식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요하며, 이러한 변화된 학습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들은 변화된 학습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방법에 있어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가? 이러한 학습자들의 변화된 학습양상을 파악하여 교육적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 특성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초연결사회에 적합한 학습자 특성을 알아보고자 초연결사회에 관한 인식, 학습역량, 학습매체, 학습방법, 학습양식 등에 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연결사회에 관한 인식 도구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개발되었으며, 학습양식 도구는 정영주·박병기(201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초연결사회 단계에 대하여 과반수가 발전단계에 와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연결사회에 따른 가장 도움이 되는 학습매체는 스마트폰으로 그 활용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자에게 가장 요구되는 역량은 기기활용이며, 비판적 사고와 소통능력, 능동성, 창의성 등이었다. 셋째, 초연결사회로 변화됨에 따라 학습방법에 가장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으며, 변화요인으로 정보획득, 정보활용, 정보탐색 등이었다. 넷째, 초연결사회에 적합한 학습양식으로 정보유형에 도형적 요인, 정보처리는 전체적 요인, 정보이해는 활동적 요인, 학습태도는 협력적 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대한 교육적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어초록

    Entering into a hyper-connected society, people are witnessing a variety of social changes including many changes in education.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in education and various cutting-edge technologies are combined with lessons, learners are expected to acquire the ability to expand their knowledge or create new knowledge by breaking away from old modes of simply acquiring knowledge and instead utilizing and integrating knowledge. Learners need to be able to adapt well to these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How do learners perceive the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 and how are they changing in these various learning metho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nged learning modes of these learners and to connect them to educational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perception survey on the learners’ awareness of hyper-connected society and their learning ability, learning medium,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style in order to find out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ed society and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suitable in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measurement tool for awareness of hyper-connected society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learning style was analyz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Jeong and Park (2017).
    The conclusion it obtained is as follows. First, the recognized that a majority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stage was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the learning medium that was the helpful in the transition to a hyper-connected society was the smart phone, and a systematic research on its utilization method must be supported. Second, the competency that is demanded from learners is device operation followed b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 activity, and creativity. Third, the learning methods are expected to undergo the greatest change due to the transition into a hyper-connected society, and change factors include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information exploration. Fourth, learning styles suited to a hyper-connected society include the figural factor for the information type, the holistic factor for information processing, the active factor for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the collaborative factor for learning attitude, with the educational discussion regarding these being carried 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종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