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자 중학생의 화장 행위: 경험과 의미를 중심으로 (The Makeup Experience of Middle School Gir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1.09
33P 미리보기
여자 중학생의 화장 행위: 경험과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19호 / 179 ~ 211페이지
    · 저자명 : 황혜미, 천혜정

    초록

    현재 우리 사회에는 적극적으로 포섭해야 할 마케팅 대상자로 청소년을 바라보는 시장의 관점과, 규율과 보호의 대상으로서 엄격한 통제를 받는 미성년자로 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이 혼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혼란이 구체화되어 나타난 청소년의 일상경험으로서 여중생의 화장 행위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화장하는 여중생 11명과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화장 행위 및 화장품 소비를 통해 이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들의 일상생활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논의한다. 연구 참가자들에게 화장 행위 및 화장품은 또래 간의 중요한 화젯거리를 제공하고 서로 간의 관계를 결속시키는 매개체이며 ‘10대 전용 브랜드’를 소비하는 것은 즐거운 일상의 소비경험이다. 이들은 화장을 하지 않는 친구를 ‘범생이’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로 인식하면서 동시에 진하게 화장하는 집단은 ‘날라리’로 폄하한다. 그러면서 ‘학생다운’ 화장을 하는 자신들을 범생이나 날라리와는 다른 집단으로 구분 짓는다. 또한 화장을 하지 않는 여성은 게으르고 자기관리를 잘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화장하는 남성은 남성답지 못한 재수없는 사람으로 규정지으며 화장을 포함한 일반적인 외모관리행동에 대해 젠더화된 규범을 드러낸다. 특히 화장 행위를 자기관리행동으로 내면화하여 자기관리 담론을 적극적으로 소비한다. 이러한 여중생들의 경험은 우리 사회의이중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각종 미디어에서 재생산되는 외모의 중요성은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규범을 강제하는 현상과 배치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ake-up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girls. In order to do it,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 total of 11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what it was like to put on make-up and purchase on cosmetics, and meaning of make-up in everyday life. Four theme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 text analysis. First, the participants got pleasure out of the time they spend with their peers while exercising make-up and shopping on cosmetics. And the cosmetics were played as a medium for their friendship. Secondly, on the one hand, the participants tri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ose who did not put on make-up or were not interested in it at all. On the other hand, they also tri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ose who put on too much make-up. They called the former as model students as a negative term, and the latter as a slut. In this way, they tended to justify their makeup behavior as ‘appropriate’ make-up for the students. Thirdly, they imitated celebrities shown through the media, and consumed exclusive product for teens. These brand consciousness, the brand for us, reinforced their group identities as consumers. Lastly, the participants actively consumed self-management discourse while they degraded the woman those who did not put on makeup, or were not interested in their own appearance. However, they criticized those men who did appearance management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imbued with typical gender ideology in our society. This study discussed various issues to implicate, such as identities of students and adolescents, autonomous adolescent consumers and their unique culture, contradictory perspective on adolescents, discipline of body and so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젠더 &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