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자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태도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Perfume by Fashion Leadership in Male University Student)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3.09
13P 미리보기
남자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태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9권 / 3호 / 67 ~ 79페이지
    · 저자명 : 김경화, 김덕하

    초록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태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남자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연구 대상을 유행 선도자,유행 추종자, 유행 지체자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집단에 따른 인구 통계적인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교차분석이 사용되었다. 향수에 대한 구매 행동을 분류하며, 국산 향수와 외제 향수에 대한 평가를 밝히고, 향수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기술 통계량 분석, 교차분석, ANOVA 분석, -검증,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수입이 많을수록, 특히 자신의 월 용돈 액수가 높을수록 유행 선도력이 높았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사용량에 있어서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하루에도 여러 차례 향수를 뿌리는비율과 매일 사용하는 비율이 많았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구매량에서는 유행 선도집단의 경우 최근 외제 향수 구매량이 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며, 선물량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소장하고 있는 향수의총 개수에 있어서 유행 선도자 집단은 유행 지체자집단에 비해 많은 향수를 보유하고 있었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선택 기준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향기를 가장 중요한 기준변인으로 이용하였다.
    유행 선도력의 정도에 따른 국산 향수의 평가에 있어서는 집단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유행 선도력에 따른 외제 향수의 평가에서는 유의한차이가 있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은 외제 향수에서 평가 값이 가장 높았다. 향수의 용기 및 상표의 이미지만족도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높았다. 판촉 활동에 있어서는 유행 선도자 그룹에서광고와 홍보가 향수의 이미지와 일치한다고 하였으며,향수의 가치 평가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자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외제 향수의 소장가치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향수로 취향을 표현하는 정도에 더 긍정적 평가를 내렸고, 기분 전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가되었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유행 선도력과 정적인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향수로 인해 즐거움을 얻고, 자신감을 얻으며, 만족감을 느끼고, 기분전환이 되며, 자신감이 상승하고, 분위기 전환에 도움이 되며,감각을 자랑하고, 남성미를 표현하는 내적 쾌락 추구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은 향수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자신과 향수의 어울림을 더 많이 고려하였으며, 신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고, 향수의 유행에 흥미가 더 많으며, 정보 탐색에 노력을 더 기울이고, 제품의 평가에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ttitude toward perfume by fashion leadership in male university student. To achieve this goal of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male university student.
    334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ubject were classified three group by the degree of fashion leadership. Group 1 as fashion leaders, group 2 as fashion followers and group 3 as fashion laggard. Cross tabulations was done to fi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the survey wa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perfume purchase behavior, attitude toward perfume and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domestic 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It was the frequency analysis, Percent, Cross-tabs, ANOVA,  -test and duncan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show that grade, monthly gross income and monthly allowance has similar differences to the degree of fashion leadership.
    Also,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In case of fashion leaders, the frequency of perfume usage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is result have the same force in the purchasing quantity. And, fashion leaders have got a large amount of perfume products.
    In perfume purchase, most important factors was fragrances. Most important factors are the same in al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onsumers’ evaluation of domestic perfume products between the groups on fashion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The result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regarding the participant’s fashion leadership showed highest scores in fashion leaders group. The group who high scored in imported perfume products was fashion leaders group.
    Fashion leaders group were satisfied with the fragrance, bottle, trademark image, promotion activity, possession value, preference and refresh oneself.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s in perfume attitude among groups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it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the pursuit of pleasure, brand directional characteristics, the pursuit of attraction, in harmony with image and the interest. The higher fashion leadership, the much positive consumers’ attitude of the perfume products. It showed that as for the seven variables, fashion leaders group has more perfume interest than other groups, and that fashion laggard group has the lowest perfume inte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