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대학생 경험에 대한 관찰연구 (An Observation Study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Project Learning)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3.02
17P 미리보기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대학생 경험에 대한 관찰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7권 / 1호 / 227 ~ 243페이지
    · 저자명 : 박영주, 박진희

    초록

    학습자들의 지속 가능한 핵심역량의 개발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대학 교육의 혁신적인 교수학습법변화를 요구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는 실제 상황에대비하여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팀 프로젝트 수업에 주목하여 대학에서 진행되는 팀 프로젝트 수업의 학습 과정에서 행해지는 실제학습자들의 맥락적 행동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팀 활동 장면이 녹화된 비디오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과정 중 특히 대화 상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활동의 목적을 규정하기 위한 학생들의 논의 과정은 배운 지식의 적용 또는 활용이라기보다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들의 경험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목의 확장으로서 배움의 과정임을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결과물의 주제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학생들의 협력 과정은 협력적상호작용이 의견일치나 동의, 적극적 소통에 기반할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와 달리 개별적 차이에 기반한동의와 암묵적 인정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실제 경험을 통해 예측의 기반이되었던 통상적 경험의 범위 안에 갇힌 동일성의 논리를 넘어 상식과 통념으로 인해 놓치고 있던 의미에눈을 돌려야 함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새롭게 규정하는 데로 나아가고 있었다. 넷째, 실제프로젝트 활동의 과정에서 실행된 교수자의 피드백은 일반적 지식과 달리 실제 상황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도구이자 지렛대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팀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실제 학습자에게 어떠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지에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서 팀 프로젝트 학습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Social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core competencies of learners require innovative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university education. Project learning enables pro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so that meaningful learning can take place in preparation for real situations in which learners face unpredictable situations and those involving complex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these team project classes, analyzes the contextual behavioral aspects of actual learner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f team project classes conducted in universities, and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discussion among students to define the purpose of the project activity is a learning process in itself. It is also serves as an extension of their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their experience through their interactions, rather than the application or utilization of learned knowledge. In addition,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cooperative interaction will be based on consensus, agreement, and active communication, the cooperative process of students discussing the subject and direction of the project outcome is conducted through tacit recogni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agreement on these differences. Moreover, through actual experience, students reflected on the need to focus on the meaning that was missing due to common sense and conventional wisdom, and which goes beyond the logic of identity confined within the range of ordinary experience that was the basis of prediction. Through this, they were able to make progress in redefining the problem. Finall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instructor's feedback,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actual project activity process, can function as a tool and and as leverage in the process of th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by supporting the problem-solving that occurred in real situations, unlike in general knowledg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eam project learning as basic research material to determine what kind of experiences are possible for actual learners in the team project learning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