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입수험생 증후군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ee’s Syndrome Scal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대입수험생 증후군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학연구 / 26권 / 12호 / 305 ~ 334페이지
    · 저자명 : 현지현, 김재철

    초록

    본 연구는 대입수험생 증후군의 척도 개발과 타당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대입수험생 증후군의 하위구인을 도출하고 개념적 정의를 진술 한 후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를 통해 척도의 적합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초조사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고3 대입수험생 53명을 대상으로 하여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8개의 하위구인을 도출하고 총 89문항의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이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8개 하위구인에 대한 개념 정의를 실시하고 총67문항의 예비조사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고3 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부적합한 하위구인을 조정하고 신뢰도와 타당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문항을 삭제하고 수정하여 총 43개 문항의 최종 본조사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 중심의 한국 사회에서 입시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대입수험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대입수험생 증후군 척도의 하위구인을 도출하고 개념적 정의를 수행하였다. 하위구인은 낮은 자기효능감, 낮은 진로성숙도, 부모성취압력의 지각, 낮은 심리적 안녕감, 부정적 정서, 학업소진이다. 둘째, 대입수험생 증후군의 본조사 척도 총 43문항은 신뢰도가 높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가 그룹의 의견 수렴과 세밀한 문항 선별 작업을 통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대입수험생의 척도 개발과 그 타당성이 확보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ee’s syndrome sca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sub-factor of college entrance Examinee’s syndrome, explain the conceptual definition, develop a questionnaire to measure it and verify the goodness of scale through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o do this, we did a basic survey and a preliminary survey. We conducted an open survey of 53 high school students for preparing the enterance exam and as a result, extracted eight sub-factor and developed a total of 89 question items. Aft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we implemented conceptual definitions on eight sub-factor and develop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67 question items. We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of 338 high school students. Then, we fixed a final main questionnaire of 43 question items by question item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djusting inadequate sub-factor, and deleting and modifying question items that negatively affect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factors are consist of six elements. That is low self-efficacy, low career maturity, perceived parents’achievement pressure, low psychological well-being, negative emotion, and academic burnout. Second, we found that 43 items on the preliminary survey scale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ees syndrome were highly reliable and that the validity could be valid through follow-up studies. If subsequent studies are carried out through the surveying for expert opinions and more detailed question-item selecti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ees syndrome’s scale will be val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