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관학(館學) 기재생(寄齋生) 제도 연구 (A Study on the Gijaesaeng System of Gwanhag(館學) in the Late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1.10
36P 미리보기
조선후기 관학(館學) 기재생(寄齋生) 제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학연구 / 31권 / 2호 / 59 ~ 94페이지
    · 저자명 : 여영기

    초록

    이 글은 『춘관통고(春官通考)』「길례(吉禮)」 중 《성균관(成均館)》 <기재생액수(寄齋生額數)>에 수록된 기사들과 이와 관련된 법규정들과 사료들을 분석하여, 이 문서의 편찬 목적과 조선후기 관학(館學)의 기재생(寄齋生) 제도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연구의 결과, 『춘관통고』 <기재생액수>의 편찬 목적은 『대전통편(大全通編)』에 수록된 관학(館學) 기재생 관련 세부 규정들의 연원과 도입 과정을 보여주는 데에 있었으며,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사들만을 취사선택하여 <기재생액수>가 편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한 조선후기 관학(館學) 기재생 제도의 성격과 운영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기재생 제도는 장학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던 일종의 공사제도(貢士制度)와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15세기 중종대 기재생 천거제도(薦擧制度)와 17세기 이경여(李敬輿)의 건의로 시행된 공거제도(貢擧制度)는 물론이고, 18세기에는 치경유생(治經儒生)의 수가 많아져 시강(試講)과 통독(通讀)을 선발의 기본 절차로 삼았지만, 각 도에 1인씩 기재생 승보 인원을 추천하여 올리게 하거나, 상대적으로 교육 여건이 열악한 관서와 관북, 제주의 유생들을 배려하는 보완규정을 둔 것은 기재생 제도가 지닌 공사제도로서의 성격이 조선후기에도 여전히 유지되었고, 서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교육여건과 기회가 부족한 지방 유학(幼學)들을 배려하려는 정책적 기조도 지속되었음을 말해 준다. 둘째, 관학(館學)의 기재생을 치경유생(治經儒生)으로 충원하여 전강(殿講)이나 식년시(式年試)를 준비할 수 있도록 교육시켰다는 사실은 이 제도가 조선후기 경학(經學) 장려정책 중 하나라는 관점에서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조선 전기에는 정원이 정해져 있지 않고 성균관 생진 정원에 빈자리가 생기면 우수한 인재를 천거로 하재에 승보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는데 비해, 17세기 양난 이후 관학을 정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기재생은 성균관 하재생 20명과 사부학당 거재 유생 20명(각 학당 5명), 전체 40명의 정원이 정해졌고, 이후 조선후기 기재생의 액수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렇게 기재생 정원이 정착되었다는 것은 정원만큼의 재정적 지원과 안정적 운영이 보장되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조선 전기의 기재생은 성균관 하재생을 의미했는 데에 비해, 조선후기는 사부학당 유생들의 인적구성과 학사관리방식의 변화로 인해 사부학당 거재(居齋) 유학(幼學)도 성균관 하재생과 함께 관학(館學) 기재생 범주 안으로 통합되어 관리되었다. 이것도 조선후기 관학 기재생 제도 운영의 주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Gijaesaengaecksoo(寄齋生額數)> in Chungwantonggo(春官通考) with historical records and legal regulation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jaesaeng(寄齋生)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e compilation of <Gijaesaengaeksu(寄齋生額數)> was to show the origin an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Gwanhag(館學) Gijaesaeng(寄齋生) system of Daejeontongpyeon(大全通編), and the compilation was edited based on the selected documents. The characteristics of Gijaesaeng(寄齋生)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ijaesaeng(寄齋生) system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kind of Gongsajedo(貢士制度) implemented as part of the scholarship policy, and it had a policy stance that cared for local students. Second, the fact that Gijaesaeng(寄齋生) of Gwanhag(館學) were recruited from Chigyeongyusaeng(治經儒生) to prepare for Signyeonsi(式年試) suggests that this system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an important policy to encourage studying Confucian script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rd, after the 17th century wars, the number of Gijaesaeng(寄齋生) was set in a total of 40, including 20 Hajaesaeng(下齋生) in Sungkyungwan(成均館) and 20 Yuhag(幼學) in Sahag(四學) (5 in each Hakdang(學堂)), and the fixed number of Gijaesaeng in Gwanhag(館學)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mained constant. This means that financial support and management was fully secured as m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were guaranteed. Final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ijaesaeng meant Hajaesaeng(下齋生) of Sungkyungwan(成均館), where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Yuhag(幼學) who lived and studied in Sahag(四學) were also integrated in Gijaesaeng(寄齋生) category of Gwanhag(관학) due to changes in the student composition and academic management system of Sahag(四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