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2차 전후파 시 속의 생(生) (The Life in the Poetry of the Second Postwar Group in Jap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8.02
30P 미리보기
일본 2차 전후파 시 속의 생(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29호 / 455 ~ 484페이지
    · 저자명 : 임용택

    초록

    잡지 『노』와 『악어』 등을 거점으로 활약한 2차 전후파의 시인들은 『황지』와 『열도』 등 1차 전후파의 전쟁을 에워싼 관념이나 사상성의 강조로부터 탈피하여, 언어에 대한 관심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감성에 의한 자기회복과 자연과의 형이상학적 교감, 참신한 시적 상상력의 추구 등 공통적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전후시로서의 숙명적 과제인 ‘역사성’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언어를 시의 유일한 목적이자 수단으로 여기는 순수시적 자각이라는 측면에서, 1960년대를 거쳐 70년대로 이어지는 현대시로서의 특징을 시사한다. 양 잡지 모두 정치화나 관념화되지 않는 문학을 슬로건으로, 문학운동으로서의 집단성을 부정하고, 시의 개별성, 다양성을 중시하는 일관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논한 생의 시편에서도 이러한 성격은 두드러지며, 『노』에서는 다니카와 슌타로의 시편에서 드러나듯 과거의 상실감과 슬픔이 새로운 생에 대한 확고한 의지로 투영되고 있다면, 『악어』의 경우는 오오카 마코토 등의 쉬르레알리슴적 시법에 기반을 둔 지적 서정시로서의 생의 감각이 강조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생물체의 생의 영역으로부터 언어가 지닌 무한한 생명력으로의 시선 이동은 일본 현대시의 언어지상주의적 시적 지평을 선점하는 것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second postwar group’s magazines in Japan were mainly the Kai (1953.5-1957.11) and Wani (1959.8-1962.9). The first postwar group, represented by the Arechi and Retto magazines, emphasized ideas and thoughts that arose from directly gazing upon the wounds of World War II. In contrast, at the time of Japan’s defeat, the second postwar group were young enough to b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us were relatively free from the wounds and memories of the war.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postwar group overcomes the self lost by war with a sensibility that pursues a metaphysical sympathy with nature through poetic imagination. Their language-oriented attitude, which regards language to be the means and ways of poetry rather than history, the theme of earlier postwar poetry, is a prominent feature of Japanese contemporary poetry that leads to what would be written in the 1960s and 1970s. Both the Kai and Wani suggest a literature not to be politicized or to be put in service as a slogan, one that denies the collectivity of a literary movement and instead emphasizes the individuality and diversity of poetry. From the point of view of life emphasized in this study, as revealed in the poem of Tanikawa Shuntaro in Kai, the sense of loss and sorrow of the past lead to the firm will of new life. On the other hand, Wani emphasizes a sense of life based on intelligent lyric poetry employing the Surréalisme technique of Ohoka Makoto. Furthermore, it extends the idea of life for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with a great vitality of language. This attitude is reflected in the language supremacy of modern Japanese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