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생전>의 사랑과 치유적 독법 (Healing Reading of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3.10
30P 미리보기
&lt;주생전&gt;의 사랑과 치유적 독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29권 / 41 ~ 70페이지
    · 저자명 : 김수연

    초록

    우리는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의 대부분이 비극적이라는 점에 물음표를 갖는다. 수많은 ‘비극적 애정소설’이 그리는 ‘소설적 사랑’에 현실마저도 감염되어, 삶을 충만하게 해주어야 할 사랑이 종종 삶을 해칠 정도의 내상(內傷)을 야기한다. 소설 속 사랑은 현실적 질곡에 절망하는 우리를 대변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 자체가 우리 삶의 질곡이 되기도 한다. 이것은 소설이 그리는 사랑 그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읽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이글은 소설적 사랑이 우리 삶의 굴레가 되는 이유와 과정을 이해하며, ‘비극적 애정소설’의 독서가 우리의 내상을 치유하는 과정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다.
    한국의 대표적 애정소설이자 비극적 사랑이야기인 <주생전>의 애정서사는 ‘모두가 치열하게 사랑했으나 그 누구도 행복하지 못했던, 실패한 사랑이야기’이다. <주생전>은 우리 소설에서 처음으로 삼각관계의 틀 속에서 애정문제를 다룸으로써, 애정 당사자들 사이에서 움직이는 사랑이라는 감정의 흐름을 분명히 포착한다. 삼각구도는 두 사람만 존재하던 절대적 애정서사의 세계 속으로 단지 한 명의 인물을 더 입장시킴으로써 우리가 숭고하게 여겼던 사랑이 얼마나 가볍고 유동적이 될 수 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또한 몸과 말을 대상으로 영원한 사랑을 맹서하게 함으로써, 외물에 기댄 사랑이 얼마나 부질없으며 대상에 대한 집착과 몰입이 우리의 감각을 어떻게 마비시키고 궁극적으로 비극에 이르게 하는지 드러낸다.
    그러나 <주생전>의 ‘아프고 나쁜 사랑’이 전하는 메시지는 ‘사랑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공고함을 확인하고 그 앞에서 절망하라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실패한 사랑을 직시하고 실패의 원인을 통찰하도록 제안한다. 사랑은 특정 대상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여럿이 함께 참여하여 서로의 행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랑을 극단적으로 절대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랑이 이웃하는 다양한 감정들 사이에서 유연하게 노닐 것을 이야기한다. 또한 작품은 사랑이 절대적이고 불변의 것이 아니듯, 그로 인한 분노와 슬픔도 우리를 영원히 가둘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기를 바란다. 사랑이든 분노든 슬픔이든, 모두가 내 안에 있는 ‘한 마음’의 부면(部面)들이기에, 그들 중 어느 하나에 몰입하여 과장되게 해석하고 다른 것들과의 균형을 잃지 않을 것을 경계하는 것이다. 사랑과 기쁨도 과하면 우리를 헤치고 슬픔이나 욕망도 적절하면 우리를 정화시키고 활기차게 한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 그리고 그러한 감정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나를 발견하는 체험이 ‘실패한 사랑서사’를 읽는 방식이며, 궁극적으로 고전이 오늘날 독자들에게 ‘위안과 지혜의 서(書)’로 끝없이 재독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는 길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We have a doubt in that a 'love story' usually has a tragic ending.
    Our life is infected by 'a fictitious love' in the tragic romance stories,so the love that should make our life complete often causes an internalinjury which may damage our lives. The love in the stories sometimesspeaks for hopeless ourselves by veridical fetters, but sometimes thelove itself can be the fetters of our lives. This has relevance to not theproblem of the love itself, but the way we read. This study, throughunderstanding the reasons and the process that become restraints ofour lives, is troubled about the means which the reading can be aprocess of healing our internal injury.
    <Jusaengjun(周生傳)>, Korea's representative romantic and tragiclove story, is a failed story that every person loves fiercely, but nobodyis happy. <Jusaengjun>, by dealing with the problems in love trianglefor the first time, captures the streams of love emotions between theinterested parties clearly. Triangular structure, by adding one personinto the absolute world of the loving two, shows plainly how the lovewe consider grandly can be light and floating. Also, by swearing eternallove aimed at body and tongue, how the love that leans against theexternals is useless and how the obsession and immersion against theobject paralyze our sense and eventually drives to tragedy.
    However, the message of <Jusaengjun> is not a despair of it but a conviction of a fact of love, failures of love. It makes us look straightour failed love and read the cause of it. Love is not owning someonebut a process of making happiness by many people, for this, love mustbe regarded as an absolute and take a stroll among adjacent variousfeelings flexibly. We hope you can make sure that the anger and sorrowof love cannot shut us up eternally as if love is not an absolute andunchangeable thing. Love or anger or sorrow, because they are aspectsof 'one mind' of mine, we must avoid sticking only one thing,exaggerating intention and losing their balances with others. Knowingthat if we have so much love or joy, they can hurt our mind, if wehave moderate sorrow or desire, they can make us pure or vigorous andthe experience of finding me swimming through that emotions, that isthe way of reading 'failed love stories'. Ultimately, we will find thatclassics can be read continuously as the book of comforts or wis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