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A Study about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san(茶山)‘s Silhak)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12
37P 미리보기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2호 / 109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용수

    초록

    본 소고는 18~19세기의 일본과 조선을 대표하는 사상가인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을 들고 그들의 학문이 무엇을, 그리고 어디를 지향했는지를 살피고 양자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양국 실학의 특징을 규명해 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ㆍ일 양국은 유학, 그 중에서도 주자학의 영향을 깊이 받으면서도 각각 상이한 유입과 정착, 발전 과정으로 인해 서로 다른 근세와 근대를 경험한 바 있다. 조선에서는 17세기 이후 실학의 태동 및 발전에도 불구하고 주자학이 정치와 학문에서 배타적 우위를 점했던 반면, 일본은 무가武家 통치의 세습 사회라는 독특한 사회구조 및 주자학을 받아들였으면서도 관리를 등용하는 과거 제도가 없었다는 점, 죠닌(町人) 계층에 까지 유학이 어느 정도 보급되고 있었다는 점, 고유 사상인 신도神道와의 습합習合, 양명학의 보급 등으로 인해 조선보다는 훨씬 자유로운 사상과 학문의 환경이 조성되고 있었다. 따라서 에도(江戶) 시대 일본 사상계는 보다 실용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런 학문적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오규 소라이가 중심이 되는 일본적 유학인 고가쿠(古學)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소라이학을 정확히 실학이라고 규정하기에는 다소 논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육경六經』 중시와 천하안민을 목적으로 하는 ‘선왕先王의 도道’를 구현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의 사상이 실용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 그 학문 방법론이 실증주의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사상을 실학의 카테고리에 포함시켜 검토하여도 크게 어긋나지는 않을 것이다. 소라이는 종전의 합리적인 주자학이 벗어나지 못했던 천인합일, 혹은 천인상관의 관계를 과감히 단절시켰다. 인간을 하늘로부터 독립시켜 새로운 인간과 천 관념을 정립했다는 데 일차적으로 소라이학에서 실학성의 근거를 볼 수 있다. 그리하여 그는 도道란 선왕이라는 인간이 안민을 위해 ‘제작’한 것, 즉 ‘만든 것’이지, 주자학에서처럼 선험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규범이 아님을 역설하고 있다. 그러나 소라이가 강조했던 ‘선왕의 도’와 ‘안민의 도’는 정치적 색채가 농후했음이 그의 저작 전반을 통해 드러난다.
    한편 다산 정약용의 경우도 반주자학 태도를 취하면서 『육경』을 중시하는 등 유학의 종지를 밝히기 위해 고학古學의 본의에 접근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는 소라이와 그 학문적 방법론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산은 철저한 경학의 재해석에 바탕한 경세론을 펼쳤다는 점에서 소라이의 정치적 실학과는 그 목적하는 바가 달랐다. 즉 양자의 결정적 차이는, 소라이학은 ‘치자治者를 위한 학’이었던 반면 다산은 ‘인민을 위한 치자의 학’이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Silhak(實學) in the Eto(江戶)-era of Japan and the Joseon(朝鮮) Dynasty b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and aims between the two scholars,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san Chung Yakyong(茶山 丁若鏞) who represent the 18th and the 19th centuries of their countries, respectively.
    The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different modern times and pre-modern times from each other through the different inflow, settlement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doctrine of Chu-thu(朱子學) chief of all Confucianism, while both of them have been deeply influenced by it. Through the fetal movement and development of Silhak, the doctrine of Chu-thu gained the exclusive position in the field of learning and politics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17th centuries. In the same periods of Japan, however, much more liberated thoughts and learning environments were building up than in the Joseon Dynasty due to the distinctive social structure governed by the hereditary class of Buke(武家), which can be featured by the non-state-authorized test, called Gwageo(科擧), even though accepting the doctrine of Chu-thu, the propagation of the Confucianism to the Chonin(町人) class to some degree, the amalgamation with Shinto(神道), and the propagation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Therefore, the world of Japanese thought of Eto-era can change their way of thinking to much more practical direction. In such an academic atmosphere, the Kogaku(古學) called Japanese Confucianism had naturally revolved with Ogyu Sorai as the central figure.
    It might be somewhat controversial whether the Soraigaku(徂徠學) could be defined as the Silhak or not. But I would maintain the opinion that the way of Sorai's thinking is practical in that he put emphasis on 『the Six Scriptures(六經)』and tried to realize that ‘the Tao of Preceding King(先王之道)’ aims at comfortable lives of all the people. And I can safely say that the thought of Sorai c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Silhak because the methodology of his scholar is depended upon positivism. Sorai cut bravely off human from the Heaven whereas the doctrine of Chu-thu could not get out of its rationalism by the time. We can read off the basics of the Silhak in Soraigaku from the fact that he delinks human from the Heaven in order to establish new concept of human and the Heaven. Therefore, he emphasizes that the Tao ought not to be a priori or metaphysical standards as the doctrine of Chu-thu claims but to be made for the human by the Preceding King. But I can say that ‘the Tao of Preceding King’ in Soraigaku was imbued with politics through his entire works.
    Meanwhile it is able to say that the methodology of scholar of Dasan is similar to Sorai. Because, Dasan put emphasis on 『the Six Scriptures』, like Sorai. and endeavored to access to the real meanings of the pre-Qin Confucianism in search of the true meanings of Confucianism, while he adopted anti-Chu-thu attitude.


    But Dasan stretched his pure theory of statecraft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at is the different point against political Silhak of Sorai. In other words, the decis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lars is that Soraigaku was for the ruler, whereas the Dasanhak(茶山學) was for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