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채생기우(蔡生奇遇)> 풍자성 고찰 -인물 형상화와 욕망을 중심으로- (Chaesaenggiwoo(蔡生奇遇) Consideration of Satire -Focusing on Character Formation and Desir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3.11
40P 미리보기
&lt;채생기우(蔡生奇遇)&gt; 풍자성 고찰 -인물 형상화와 욕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문학연구 / 48호 / 173 ~ 212페이지
    · 저자명 : 안지민

    초록

    이 글은 야담계 단편 소설 <채생기우(蔡生奇遇)>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채노인의 풍자적 성격, 채생의 심리적 국면, 여인들의 욕망의 흔적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인물 형상화와 욕망을 그려내는 방식이 풍자성을 효과적으로 선취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간 선행 연구는 주로 채노인과 역관 김령의 대결 구도를 주축으로 작품을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것은 근대 이행기에 신분 동향을 역동적으로 보여주는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근대적 사실주의(현실주의) 소설로 나아가는 좌표 속에 해당 작품을 놓고자 하는 의도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시각이 현재까지 굳어짐으로써 연구에서 배제된 영역들 또한 분명히 존재했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그 배제된 영역 중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하였다.
    먼저 채노인의 성격을 ‘진지함’, ‘근엄함’으로 규정해온 기존 견해와 달리 ‘변덕’과 ‘기억상실’을 축으로 욕망과 체면(이념)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희극적 전형성을 획득함으로써 몰락 양반 계층이 효과적으로 풍자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다음으로 아들 채생의 시선, 태도, 감정에서 감지되는 환상적 욕망이 아버지의 가르침(이념)과 욕망 사이에서 망설이고 있는 이중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고찰한다. 또한 그 욕망의 기적적 성취가 오롯이 중인 역관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아들의 서사는 어리석은 자의 과대망상적 욕망과 횡재의 서사를 그리며 풍자되고 있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채노인 처, 채생 처, 김령 딸의 욕망의 흔적을 찾아내어 다양한 위치의 여성들이 전통적인 위계 관계나 사회가 기대하는 시선에서 탈출하는 면모를 살핀다.
    이로써 본고는 해당 텍스트가 한 집안 구성원들의 다양한 욕망들을 분출시키는 가운데 조선 후기의 몰락 양반 계층을 풍자하여 문학적 성취를 이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akes as its subject of study the Yadamgye(野談系) short novel Chaesaenggiwoo(蔡生奇遇). The purpose is to examine Old man Chae(蔡)’s Satirical character, his son’s psychological phase of fantasy, and traces of women’s desires.Through this, I would like to reveal that the way of depicting characters and desires contributes to effectively taking on satire.
    Previous studies have tended to look at the work mainly based on the confrontation between Old man Chae(蔡) and interpreter Kim Ryeong(金令). It seems that there was a strong intention to place the work in the coordinates toward modern realism novels by highlighting aspects that dynamically show social status trend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owever, as that view has solidified to this day, it is thought that areas excluded from the work also clearly existed.
    This paper focused on three aspects of the excluded areas.
    First, contrary to the existing view that defined Old manChae’s character as ‘serious’ and ‘stern’, i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allen noble class is effectively being satirized by acquiring a comical typicality tha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sire and respect (ideology) around ‘whims’ and ‘memory loss’.
    Next, the description of the fantastic desire detected in the son Chae-saeng(蔡生)’s gaze, attitude, and emotions shows that this text is not only composed of the axis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old man Chae and interpreter Kim Ryeong, but also that there is another axis of generational conflict between father and son. This tells us that the text contains a fantastic narrative of the son’s dual desire to fulfill his desire that goes against his father’s teachings without seriously violating his father’s world.
    Next, we examine how the fantastic desire detected in the son Chae-saeng’s gaze, attitude, and emotions reveals the duality of hesitation between his father’s teachings (ideology) and his desire.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son’s narrative is being satirized by depicting the narrative of a foolish person’s megalomaniac desire and windfall as the miraculous fulfillment of the desire is achieved solely by the interpreter.
    Lastly, by analyzing the desires of old man Chah’s wife, Chae-saeng’s wife, and Kim Ryeong’s daughter, we examine how each woman escapes from traditional hierarchical relationships and society’s expected gaze.
    In doing so,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at the text satirizes the downtrodden yangban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le unleashing the various desires of the members of the Fallen Yangban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