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경이미지와 색연상 연구 (A Study on color association and Environment Ima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8.02
11P 미리보기
환경이미지와 색연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미디어학 / 21권 / 1호 / 245 ~ 255페이지
    · 저자명 : 주미경

    초록

    매일 매연과 이상기온의 변화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환경이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의 관계에서 개인만이 아니라 환경 문제는 지구에서 생존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지키고 가꾸고 보존해 가야 할 동반 역할을 나누어 져야 하는 시대다. 사회적인 환경 관련 일들은 다양한 업무를 수반하고 있지만 사회적 인지를 위한 여러 요소 중 색(Colour)현상은 언어와 문화, 환경과 관련이 깊을수록 색채의 연상은 단순한 시각적 인지라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사회적인 부분의 가장 크게 다가온 현실적인 부분인 환경 문제를 다각적 시각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색의 활용성이 국가와 정책을 실현하는 큰 요소로 인지되기에 색 지각을 넘어 색 감성 부분인 색연상을 통한 이미지 구성과 이미지 전달의 인지심리학적인 상징적 색연상 근거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조사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선택된 조사자 10명과 무작위 선정된 조사 대상자 253명에게 우리나라 교육용 먼셀 색표계(Munsell System)와 무채색으로 2017년 5월에 자유연상법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선택적 조사를 통한 분석은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 학업, 직업, 외 결과에 넣을 변수들 총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spss12.0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명목변수들을 가지고 빈도분석, 교차분석(cross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집단 간 비교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크루스칼 월리스(Kruskal 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독립성 검정의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범위는 우리나라 환경에 대한 색이미지, 환경이미지에 대한 색연상 이미지를 조사하여 환경 색 이미지와 색연상 관계를 통한 사회학적 색이미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이미지 관련 색연상 부분은 의미적 색인 연두계열과 파랑계열이 우선되어진다. 둘째는 환경이미지 색연상 부분에서 기원적 연상과 현실적 연상이미지는 색채가 갖는 양면성이 존재한다. 셋째는 환경이미지와 색연상 관계는 다양한 인지영역과 복합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인간의 색연상은 선천적인 유전과 후천적 사회적 상황이 반영된 직간접적인 상징적 표상과 언어가 될 수 있다. 특히 한 나라의 정책과 개인의 심리 정서의 관계는 개인적 문화교차학적 관점에서 색과의 상호 작용을 통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실행이 인간의 사회적 규범을 통한 개발과 적용을 위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Environmental issues in the world we are living in require any individual human being living on the earth to work together to respond in order to protect and conserve our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related affairs entail diverse kinds of works. Of the many factors for social cognition, in color phenomenon; the closer the relationship with language, culture and environment, the more different the color association is perceived. Environmental issues approached in this viewpoint need to be looked at from multiple perspectives. As color utilization is cognized as a huge factor for national policy implementation,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ground for the symbolic color association of image communication in a cognitive psychological sense where color cognition is assumed as a precondition. For this study survey, 10 surveyors examined 253 randomly selected surveyees with the Korean educational Munsell System in free association method in May, 2017. Analysis based on selectiv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12.0.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implemented with nominal variables. The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image of Korean environment and color association.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semantic colors of yellow green and blue were preferred for color association on environmental image. Second, in the environmental image color association part, there exists ambiguity of colors between the original association and practical association imag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image and color association was found to have formed complicated relationships with diverse cognition fields. Against the background of forms and colors innately inherited and learned, human color association can serve as a direct and indirect symbolic signal and language playing a social mediation role in reflection of the notions on colors according to social symbols and cultural environment of each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미디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