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날”을 향한 미적 실천의 수행 불/가능성 ― 이상과 윤동주의 시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Im/possibility of Performing the Aesthetic Actions for the “New Da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1.02
43P 미리보기
“새날”을 향한 미적 실천의 수행 불/가능성 ― 이상과 윤동주의 시적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65호 / 307 ~ 349페이지
    · 저자명 : 최서윤

    초록

    이 글은 윤동주 시의 새로움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상의 텍스트와 윤동주의 텍스트가 공유하는 문학사적 난제를, 윤동주의 시적 주체가 돌파해나가는 과정을 텍스트 분석으로써 추적했다. 이를 통해, 윤동주의 시를 시인의 자기 서사로서 제한했던 기존의 해석적 관행에 문제를 제기하고, 윤동주의 시 텍스트에 내장된 미적 자질로서의 부정성을 새롭게 이해하고자 했다. 이상의 텍스트적 주체는 자기를 전능한 주체로 정립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구축하려 하지만, 자기 자신과 기존 세계를 파괴하는 일조차 수행 불가능함을 인지한다. 그러한 주체는 분열된 주체로, 파괴 불가능함은 절망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그러한 불가능성(절망)의 지평 위에서만 열 수 있는미지(未知)로서의 새로움을 제출했다.
    윤동주의 시적 주체는 이상의 텍스트에서 제출된 불가능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나, 이상의 시적 주체와 달리 행동(순교)함으로써 그 불가능성을 돌파하고자 했다. 윤동주의 시적 주체는 미래로서의 “새날”을 열기 위해서 죽음을 초월하는 위인으로 자기를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적존재(하늘)와 동일시를 수행하려 하지만 그러한 동일시가 불가능함을 인식한다. 그러나 윤동주의 시적 주체는 미적 실천인 순교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체제에 균열을 내어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of breaking through the literary historical difficulties shared by Lee Sang’s texts and Yun Dong-joo’s poetry through text analysis in order to clarify the new horizon that Yun Dong-joo’s poetry opened.
    Through this, the problem was raised against the existing interpretative practice that limited the poem texts of Yun Dong-joo as the poet’s self-narrative, and attempted to newly understand the negativity as the aesthetic aspect embedded in the texts of Yun Dong-joo. Yun Dong-joo did not become a poet while he was alive, and he carefully read various poetry books and refined his poetry.
    The work of trac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Lee Sang’s texts is essential to clarify the orientation for newness in the poetry of Yun Dong-joo.
    Lee Sang’s textual subject tries to establish a new world by establishing himself as an omnipotent subject, but recognizes that he cannot even destroy himself and the existing world. Such a subject is reproduced as a divided subject, and such indestructible appears as despair. However, he presented a novelty as the unknown that can only be opened on the horizon of such impossibility. Yun Dong-joo’s poetic subject tries to establish itself as a great man who transcends death in order to open a “new day” as the future. To this end, he tries to perform identification with a divine being (heaven), but he recognizes that such identification is impossible. The perception of this impossibility is shared with Lee Sang’s textual subject. However, if Lee Sang’s textual subject thoroughly reproduced the inability to act by performing fainting, the poetic subject of Yun Dong-joo attempts to break the existing system and open a new horizon by performing martyr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