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장본풀이'에 담긴 수수께끼와 연행방식 고찰 - 지장과 새의 의미, 연행방식의 특징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riddle and Performing form of 'Jijangbonpuri' - In the focus on the meaning of Jijang and the bird, the character of Performing form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9.08
33P 미리보기
'지장본풀이'에 담긴 수수께끼와 연행방식 고찰 - 지장과 새의 의미, 연행방식의 특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35호 / 41 ~ 73페이지
    · 저자명 : 한진오

    초록

    지장본풀이는 신의 내력담을 노래하는 제주도의 무가 중 하나로 지장아기씨
    라는 여인의 비극적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본풀이는 주로 죽은 조상의
    영혼을 천도하는 시왕맞이에서 불려진다. 제주도굿에서 불리는 여느 본풀이들
    이 심방 한 사람에 의해 리듬과 멜로디를 자유롭게 운용하며 말과 노래를 병행
    하는 독창으로 진행하는 것과 달리 규칙적인 틀을 가진 노래로 불리며 심방의
    노래를 악사들이 그대로 반복하는 가창방식을 보여준다. 이같은 점에서 지장본
    풀이는 다른 지방의 만세받이, 바라지창과 비슷한 면모를 보이고 있어 상호 간에 적잖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리라 여겨진다.
    지장본풀이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는 것은 지장이 죽은 뒤 새로
    환생했다는 부분이다. 이 새는 제주도굿에서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어 시왕맞이
    에서 내쫓김을 당하는데, 이글에서는 과연 이 부정한 새가 지장의 화신인가 하
    는 점과, 부정한 것이라고 해 무조건 내쫓김을 당하는가 하는 두 가지 의문이
    다. 최근까지 전개된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새는 지장의 화신이며 부정한 것으
    로 여겨 내쫓는 대상으로 성격을 파악해왔다. 그러나 이글에서는 2008년에 채
    록된 두 편의 새로운 자료에 근거해 지장과 새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
    하고 있다. 새로운 자료에 의하면 지장은 사후(死後)에 새로 환생한 것이 아니
    라 돌부처로 환생해 서천꽃밭에 좌정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돌부처에게 날아
    들어 해코지를 하는 새를 내쫓아내자는 것이 지장본풀이가 의례의 전후맥락에
    서 지니는 의미인 셈이다.
    이글에서는 최근의 채록자료에 근거해 지장과 새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는
    작업과 더불어 지장본풀이가 지닌 연행방식의 특징을 비교적 후대의 산물로
    바라본다 그를 위해 다른 지방의 유사한 사례와 비교해 내용과 형식이 어떤
    경로를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영어초록

    <Jijangbonpuri> which has a tragic living story of a woman, Jijang,
    is one of Shaman Songs singing an account of one's lfe.
    <Jijangbonpuri> is frequency sung in Siwangmaji leading death
    ancestor to the Heavenly way. JejudoGut is different to any Bonpuri,
    which a shaman originally performs in singing and a talk applicating
    freely rhythm and melody, and shows a singing pattern in which
    bandsmen play regularly and repeatedly a Shaman's song to itself. In
    view of this pattern, <Jijangbonpuri> is so similar to the other local
    Mansebaji, Barajichang that they seem to be effected in each other.
    The most importantly interested part of <Jijangbonpuri> is that
    Jijang has given another birth as a bird after she is dead. The bird is
    regarded as a uncleanly thing in JejudoGut so that it was expelled in
    Siwangmaji. In this article, there are two questions, "whether the
    uncleanly bird is truly Jijang" and "whether the uncleanly ting is
    absolutedly expelled". The resent pre-studies explain that the bird is
    Jijang's avatar and understand it's expelled as a uncleanly thing.
    However, this article based on two new extracted materials in 2008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Jijang and the bird in a new way. The new materials explain that Jijang, after death, isn't an incarnation of a
    bird but a stone of (image of) Buddha sitting in Seo-chon flawer
    garden. The original meaning of <Jijangbonpuri>, looking at it before
    and behind, is to expel the bird doing harm toward the Buddha,
    Jijang's avatar.
    This article based on the recent extracted materials doesn't only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Jijang and the bird in a new way but
    also researches in regarding the character of <Jijangbonpuri>'s
    Performing form as a relatively product of the future generation how
    to turn into the present <Jijangbonpuri> to itself through what
    channel, comparing the other local similar instances in letter and in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