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지식지형의 비판적 인식과 민속지식의 새 지평 (A Critical Review of Korean Knowledge Structure and a New Perspective of Folk Knowledge)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3.02
53P 미리보기
한국 지식지형의 비판적 인식과 민속지식의 새 지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21권 / 5 ~ 57페이지
    · 저자명 : 임재해

    초록

    외국지식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 지식지형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하여, 지식지형의지층분석 준거를 마련하고 그 준거에 따라 민속지식의 정체성과 효용 가치를 밝히는 가운데 민속지식 중심의 새 지식체계 수립을 제기하였다. 지식지형을 고급지식과 대중지식, 민속지식으로 유형화하고, 지식지형을 이루는 지층의 준거를 지식의 1) 성격, 2) 주체, 3) 국적, 4) 시대, 5) 매체,6) 공인으로 설정하여 그 위상을 분석한 뒤에, 다시 지식의 1) 생산 주체를 중심으로 2) 활동공간,3) 가치인식, 4) 존재기반, 5) 수용방식에 따라 대비함으로써, 민속지식의 존재양상과 그 가치를 상대적으로 논증했다.
    그 결과 민속지식은 민중에 의한 전승지식으로서 민족지식이자 경험지식이며 일상생활의 쓰임새에 따라 전승력과 효용성을 발휘하게 되는 전통지식이자 공유지식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통시적으로 부침하는 지식지형의 위상을 다룸으로써 한국 지식체계의 지속과 변화를 주목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중국지식, 일본지식, 서구지식 등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이 지식지형의 변화 양상이며, 한결같이 외래문화와 외국지식이 민족지식 우위에서 주류 구실을 한 사실이 지식지형의 지속 현상이다. 이러한 지속 현상을 극복하고 민족지식 중심의 지식지형을 이루는 것이 한국학계의과제이다.
    문화되돌이 현상을 보기로 전승지식의 가치를 재해석하는 한편, 세계 수준의 민족지식을 제시하고 외국지식 적용의 오류를 비판함으로써, 지식지형을 주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과 설계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했다. 서구지식이 아니라 한국지식의 관점에서 학문주권을 자각하고민족지식을 근거로 새로운 사관과 이론을 개척해야 지식의 오리엔탈리즘을 극복하고 학문 종속주의에서 해방될 수 있다. 브리테니커와 위키피디아의 지식체계를 대조함으로써 문헌전승의 전문지식과 독점지식 못지않게 공동체 지식, 구전지식, 공유지식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근거로, 민속지식중심의 새 지식체계를 구상하는 것이 한국 지식지형을 바람직하게 수립하는 길임을 해명했다.

    영어초록

    With a critical review of Korean knowledge structure which relies on foreign knowledge, this study prepared criteria for strata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and according to the criteria, it discovered identity of folk knowledge and its useful values and established a new knowledge system based on folk knowledge.
    Knowledge structure has been categorized in advanced knowledge, public knowledge, and folk knowledge. The criteria of strata which makes up knowledge structure has been set as 1) characteristics, 2) main agent, 3) nationality, 4) era, 5)media, 6) public recognition of knowledge. The status of knowledge has been analyzed with the criteria. Based on 1) producing agent of knowledge, the status has been compared with 2) active space, 3) value cognition, 4) presence foundation,and 5) acceptance mode to prove presence aspect and values of folk knowledge relatively.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folk knowledge is transmitted by the public and it is ethnic knowledge and experience knowledge. Also, it is traditional knowledge and shared knowledge as it exhibits transmission and usefulness depending on its use in daily lives. This study also pays attention to continuance and changes of Korean knowledge system by exploring the status of knowledge structure diachronically. As for the changes of knowledge structure, knowledge isprimarily Chinese knowledge, Japanese knowledge and western knowledge as the times change. As for the continuance of knowledge structure, foreign culture and knowledge has always played a main role over folk knowledge. A task for Korean academia is to overcome this continuance and to establish knowledge structure based on folk knowledge.
    While reinterpreting values of transmitted knowledge with culture loop phenomenon, this study raised possibilities of designing knowledge structure independently and the necessities by presenting world-class folk knowledge and criticizing errors of foreign knowledge application.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academic rights not in a perspective of western knowledge but in a perspective of Korean knowledge and to explore a new view of history and theories based on folk knowledge in order to overcome orientalism of knowledge and to be liberated from academic dependency. By contrasting knowledge systems of Britannica and Wikipedia, this study discovered that community knowledge, orally transmitted knowledge, and shared knowledge are as important as specialized knowledge and exclusive knowledge of transmitted literature. Thus,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a new knowledge system based on folk knowledge in order to establish desirable Korean knowledge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