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태시민사회의 형성과 새마을운동의 도전 (The Formation of Ecological Civil Society and the Challenge of Saemaul Moveme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4.08
33P 미리보기
생태시민사회의 형성과 새마을운동의 도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57호 / 303 ~ 335페이지
    · 저자명 : 정용교

    초록

    공업주의, 자본주의, 관료제 등의 대변되는 현대의 거대사회적 흐름은 생태적 및 인간적 차원에서 거대한 위협요인으로 다가서고 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생태적이며 지역친화적인 공동체의 부활은 대안사회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등장한다. 이런 대안사회의 가능성은 기존의 지배중심적 믿음구조에서 탈피하여 생태소양적 품성을 지닌 생태시민을 육성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생태시민사회의 구축은 사회를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전환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은 곧 생태적 소양을 갖춘 생태시민의 육성과 직결된다. 이 논문은 그런 대안사회의 구축을 생태적 질서구조를 마련하는 것에서 찾고자 하며, 나아가 그런 대안적 질서구조의 마련을 21세기형 새마을운동의 핵심과제로 제안한다. 이 논문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생태시민사회의 등장을 기존의 지배중심사회의 특징과 비교하여 검토한다. 다음으로, 새마을운동이 생태시민사회의 형성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생태공동체의 형성을 농촌형(생태마을)과 도시형(도시재생)으로 나누어 제안함으로써 새마을운동의 미래지향적 실천가능성을 탐색한다.

    영어초록

    The modern giant social trend represented by industrialism, capitalism and bureaucracy etc. approach to us as a huge threatening factor in the domain of environment and human life. In this situation, the resurrection of ecologically- and local-friendly community can provide the new possibilities for a coming alternative society. Thes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socie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cological cultivating citizen ability which had the ecological character.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paradigm shift from domination-oriented society to ecology-oriented society. It is because that the transition of our perception structure can be happened in the building of ecological civil society,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ecological civil competencies. This study deal with the ecological framework(social order structure) as a newly paradigm for building an alternative society. Also, this study provide the core task of Saemaul movement in 21 century society as a good model of such an alternative social structure. The cor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st of all, I examine the emerg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cological civil society as contras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omination-oriented society. Subsequently, I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ts of ecological civil society and Saemaul movement. Finally, I explore the future-oriented possibility for practice of the Saemaul movement by suggesting the formation of ecological community in the rural type(ecological village) and urban type(urban re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