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국어 교육의 새 기준(new normal) (The New Normal as a New Daily Life Era, The New Normal as a Standar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1.07
14P 미리보기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국어 교육의 새 기준(new normal)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2권 / 29 ~ 42페이지
    · 저자명 : 이병규

    초록

    이 글은 새 일상 시대의 국어 교육의 방향으로서의 새 기준을 논의했다. 먼저 ‘새 일상’과 ‘뉴 노멀’의 용어상의 관계를 살펴본 후, 새 일상 시대는 어떠한 모습을 띠고 있는지를, 사회적 측면과 교과적・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 변화적 측면의 새 일상으로는 먼저, 경제 침체에 따른 것으로 빈부 격차 심화, 교육 불평등 심화,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절벽 심화, 1인 가족 및 1인 생활 일반화 등을, 4차 산업 혁명 시대와 관련된것으로 뉴미디어의 발달, 비대면 온라인 소통 방식의 일반화, 각 분야의 인공지능의 개발로 인간의 역할에 대한 변화 등을, 코비드 19로 인한 새 일상으로 소득 양극화, 배달 문화의 활성화 및 플랫폼 노동자와 그 인권 문제 대두, 재택 근무의 일반화, 교육 양극화의 심화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기후 변화로 인한 저탄소 배출,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 가정 및 국제 결혼 가정, 전세계적 한류 신드롬의 출현 등을 사회적 새 일상에 포함시켰다.
    다음으로 교과적・교육적 측면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가지의핵심 역량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섯 가지의 핵심 역량이 새 일상 시대에도 유효한것으로 파악했다. 다만 여기에 새 일상 시대의 사회 변화의 모습을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해야함을 논의했다. 나아가 학문 간, 교과 간 통섭과 융합에 대한 요구, 코비드 19의 경우에서처럼, 사회적거리 두기 등으로 인한 면대면(off-line) 중심의 학교・지역・사회 교육에서, 비대면(on-line) 병행 또는 비대면 중심의 학교・지역・사회 교육의 일반화 및 보편화 요구 등도 반영하여야 함을 논의했다.
    끝으로 새 일상 시대의 특성과 성격을 국어 교육과 연계하여 논의하고, 새 일상 시대의 국어 교육이지향해야 할 새 기준으로 첫째, 창의적 사고력 신장 강화, 둘째, 맥락과 어법에 맞는 국어 사용 능력신장 강화, 셋째, 미디어 문식성 신장 강화, 넷째, 기초 문식성 강화, 다섯째, 융합적 사고 역량 강화를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w normal as a standard(NNS) a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education in the new normal as a new daily life(NNL). First, after examining the terminologicalrelationship between ‘NNL’, ‘NNS’ and ‘new normal’,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NNL bydividing it into a social aspect and a curricular・educational aspect.
    The NNL in terms of social change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downturn, the gap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s widened, educational inequality has increased, the population cliffhas been deepened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single-person families andsingle-person lifestyles have generalized. As related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are developments in new media, the generalization of non-face-to-face online communicationmethods, and changes in the role of humans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achfield. As a NNL due to Covid 19, there are income polarization, the revitalization of delivery culture,the rise of platform workers and their human rights issues, the generalization of telecommuting, andthe deepening of education polarization. In addition, low carbon emissions caused by climatechange, foreign worker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d the emergence of the globalHallyu syndrome can also be included in the social NNL.
    Next, the NNL in terms of curriculum and education change is as follow. It was identified that the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summar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six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effective in the NNL.It was justdiscussed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social changes in the NNL era.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also reflect the demand for generalizationof non-face-to-face school, regional, and social education due to social distancing(Covid 19) and thedemand for consilience and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and subjects.
    Finally, four N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NL arepresented. First, strengthen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seco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useKorean according to context and usage, third, strengthening media literacy, fourth, strengtheningbasic literacy, and fifth, strengthening convergence thinking cap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