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왕기상 17-19장의 문맥 속에서 본 열왕기상 17:17-24의 신학적/해석학적 기능: 죽음 모티프를 중심으로 (The Theological and Hermeneutical Function of 1 Kings 17:17-24 within 1 Kings 17-19 in Light of the Motif of Death)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9.12
19P 미리보기
열왕기상 17-19장의 문맥 속에서 본 열왕기상 17:17-24의 신학적/해석학적 기능: 죽음 모티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산신학저널 / 50권 / 321 ~ 339페이지
    · 저자명 : 석진성

    초록

    본 소고의 목적은 열왕기상 17:17-24에 나타난 죽음 모티프가 열왕기상 17-19장의 문맥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 또 신학적으로 어떤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밝히는 데 있다. 최근 들어 학자들 사이에서 열왕기상 17-19장은 주제적, 구조적으로 통일성을 이루며 “여호와와 바알/죽음과의 대결”이라는 중심 모티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그들 대부분의 연구는 열왕기상 18장의 갈멜산에서의 엘리야와 바알 선지자들의 대결에 초점을 맞춘 나머지 죽음 모티프의 결정적인 에피소드라고 할 수 있는 열왕기상 17:17-24의 사르밧 과부의 죽은 아들이 살아난 기적 이야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그리 많은 주목을 하지 못했다. 이에 본 소고는 열왕기상 17:17-24에 나타난 죽음 모티프의 문학적/신학적 기능을 살펴보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소고는 구조 분석을 통해 열왕기상 17:17-24에 나타난 죽음 모티프는 사르밧 과부의 불신앙적 태도가 믿음의 태도로 바뀌어지는 것과 의심받고 비난받았던 엘리야가 하나님의 사람으로 인정받는 두 가지 주제의 변화를 이끄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힌다. 더 나아가 열왕기상 17장의 세 가지 에피소드가 열왕기상 18장의 갈멜산에서의 엘리야와 아합의 본격적인 대결을 준비하고 예고하는 “예비 라운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주장하며, 특별히 마지막 에피소드인 열왕기상 17:17-24의 두 가지 기능을 주장한다. 첫째로 죽은자가 살아나는 죽음 모티프를 직접 다룸으로써 열왕기상 18장의 바알과의 본격적인 대결에 앞서 생명과 죽음을 다스리시는 분이 하나님이심을 확증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 바알과의 대결에 임할 엘리야를 합법적으로 하나님의 선지자로 승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힌다. 결론적으로 본 소고는 열왕기상 17:17-24 의 죽음 모티프가 열왕기상 18장의 바알과의 본격적인 대결에 앞서 바알이 아닌 여호와가 생명의 공급자 되시고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을 주관하시는 분이심을 분명히 드러냄으로써 하나님과 같은 다른 어떤 신도 없음을 확증하는 중요한 역할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t functions and meaning of 1 Kings 17:17-24 and its theological implication. An argument has been made by recent scholarship that the literary structure of 1 Kings 17:17-24 remarkably shows its thematic and structural unity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entral motif of “the contest between the Lord and Baal.” However, whereas the strife between Elijah and Baal’s prophets on Mount Carmel has attracted most interest of researchers, the revival of the widow’s son in 1 Kings 17:17-24, which can be considered the pivotal episode of the motif of death, has gained relatively limited attention. This study thus attempts to examine the literary and theological functions of the motif of death described in 1 Kings 17:17-24. It will argue that the motif of death in the given se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exhibiting a double thematic movement: 1) the movement of crisis: from death to life; and 2) the movement of the widow’s faith: from disbelieving hostility to a confession of faith. Furthermore, the research will assert that the three episodes in 1 Kings 17 function as “preliminary rounds,” foreshadowing the full-fledged confrontation between Elijah and Ahab (eventually, between Yahweh and Baal) on Mount Carmel. In particular, the last episode, that is, 1 Kings 17:17-24 serves to announce the imminence of the major conflict. The episode firstly confirms that Yahweh is the ruler of life and death. Moreover, it functions to legitimate Elijah as the prophet of God prior to Elijah’s pivotal contest with Ahab on Mount Carmel. In conclusion, 1 Kings 17:17-24 illustrates that Yahweh is the only God by revealing explicitly that Yahweh, not Baal, is the provider of life and master of all that is happe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산신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