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수업의 像, 실현화·곤란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Regarding the History Teacher Element)

7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7.03
78P 미리보기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수업의 像, 실현화·곤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27호 / 51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인경

    초록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겪는 사고(思考) 과정을 심층 면담하여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고찰하기 위해 수업 像, 실현화, 곤란이라는 연구 용어를 정립하였다. 연구과정은 다섯 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고려하는 역사교사요인과 그에 따른 수업 像과 실현화, 곤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로써 교과교육 차원에서 현장 교사들의 수업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보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역사 수업의 주체인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역사교사요인을 ‘①역사 교과의 특성, ②역사 수업 방법, ③학습자의 특성, ④역사 수업 환경, ⑤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라는 5가지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교사들의 수업 像을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에 따르면 대체로 교사들이 기대하는 수업 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역사적 상상력으로 당시대를 이해하는 수업, 다양한 역사 해석이 가능한 수업, 역사적 개념이나 사실을 흐름 속에서 이해하는 수업 상을 그렸다. 둘째, 역사 수업 방법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수업,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수업, 교사의 스타일을 살려 구조화 한 수업, 다양한 역사 교재를 활용한 수업 상을 그렸다. 셋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수업,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넷째, 역사 수업 환경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 수, 기자재 같은 교실 환경을 고려한 수업, 입시·진도·동료교사와의 관계 같은 외부적 상황을 고려한 수업상을 그렸다. 다섯째, 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를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교사들은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반영한 수업,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의 수업, 발전적이고 만족할 수 있는 수업 상을 그렸다.
    본 연구는 교사에 따른 수업 설계 과정을 비교하고자 ‘조선 후기 문화’를 제시하고 수업 장면을 재구성하였다. 학습자를 가장 고려하는 (가)교사의 수업은 조선 후기 문화 자료가 많이 등장한다. 교과서 밖의 수업 자료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자료를 통해 흥미를 갖고, 많은 자료를 경험하여 시험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수업 방법을 가장 고려하는 (나)교사는 학생들이 조선 후기 서민이 되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수업을 한다. 이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활동 수업 상이 실현된 것이다. 역사 교과의 특성을 가장 고려하는 (다)교사는 학생들이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성장한 서민의식을 이해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와 함께 현실 사회도 읽어내기를 바란다. 이를 실현하고자 (다)교사의 수업은 질문이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면 경제 성장과 문화의 연계, 당시대 사람들의 삶을 유추하는 질문이다. 이는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켜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상이며, 역사적 흐름에서 개념과 사건을 익히는 수업 상이다. 수업 방법과 학습자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는 (라)교사는 학생 발표 수업으로 실현한다. 학생들은 서민 문화 같은 역사 용어를 풀이하고, 모르는 내용은 스스로 해결한다. 발표 수업은 어떠한 학생들이라도 자신의 수준에 맞게 진행될 수 있는 적절한 수업이라 본다. 역사 수업 환경을 가장 고려하는 (마)교사는 TV화면에 문자도와 민화를 보여주며 퀴즈 수업을 한다. 이는 교실 환경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성향과 흥미·관심을 가질 수 있는 수업 상을 실현한 것이다. 각 수업 상에 따른 교사들의 실현화, 곤란에 대해 알아낸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수업 상은 중첩적이거나 막연한 경우가 많았다. 교사가 추구하는 수업 상은 있더라도 명료하지는 않았다. 이는 교사들이 구체적인 수업 상이나 수업 의도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말한다. 기대하는 수업 상이 명료할 때 그 수업에 대한 가치 논의가 가능해진다. 둘째, 수업 상과 그 실현화 과정 사이의 적절성에 대한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 교사의 개인적인 판단으로 실현 방법을 선택하였고, 그것도 몇 개로 한정적이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수업 상,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수업 상,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업 상을 실현하고자 영상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무슨 영상 자료를 어떻게 가공하여 수업 자료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더 필요하였다. 셋째, 교사의 수업 상은 특정 몇 가지로 집약된다는 점이다. 가장 많은 수업 상 중 하나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갖는 것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주로 동영상 자료나 시각자료를 활용한다고 하였다. 이는 기존 교과교육의 연구 주제로부각되지 않았으나, 현장에서는 익숙하고 빈번한 수업 상이었다. 다수의 교사가 이와 같은 수업상을 우선시한다. 넷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곤란은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행정적인 업무의 과다, 학생 수, 학생들의 성향 및 과목에 대한 무관심 등 교사가 판단하는 곤란은 대체적으로 개인적인 차원에서 극복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역사 교사의 수업 설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수업 전반을 이해하는 것과 같다. 기존 교과 교육 연구처럼 특정 수업 모형·목표로 수업을 이해하는 것은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은 현장 교사들의 수업을 개선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수업 전에 그리는 수업 설계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수업 상과 실현화의 적절성 여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곤란에 관해 검토해야한다. 이러한 사례 연구가 지속되고, 교과교육학계가 지원한다면, 교과 교육과 교육 현장의 간극은 메울 수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hough process of history teachers in curriculum designing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And in order to contemplate on this, the study term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was establishe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subjecting 5 teacher.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history teacher element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signing and the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of the history teachers. This study hereby expect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the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of teachers in educational field in terms of curriculum education.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5 history teach elements that teachers, the main subject of history class consider significant in designing clas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at are “①characteristic of history class ②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③characteristics of learner, ④history class environment , ⑤teacher’s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Also, the teachers were subjected to in-depth interview regarding class figu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 the class figures expected by most of th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figure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which enables reality understanding by improving historical thinking,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period with historical imagination, class which enables various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cept and fact in the flow. Second is the figure regarding the 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that students participates, class with effective delivery of contents, class which well constructed teacher’s style, class which utilizes various historical material. Third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learner.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interest of students, class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and clas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tudents. Fourth is the class figure considering history class environment.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class environment element such as number of students and classroom material, and class considering the external situation such as college admission, study progr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Fifth, the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the history education philosophy of oneself, class with contents that teachers see important, and class that is satisfactory and expansive.
    In order to compare the class design process by teachers, th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late Joseon culture” and restructured class scene. Teacher (A) who considered students the most presented the largest amount of late Joseon culture material in the class. There were also many materials outside the textbook. This is to make students feel interested in class and experience many materials to prepare for exam. Teacher (B) who mostly concerned the teaching method designed class making story by students becoming the ordinary people from late Joseon. This has realized the activity class figure participated by students. Teacher (C) who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education aim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thoughts of people lived in the social and financial background of late Joseon. Also, he wanted to read out the actual society. In order to actualized this, a lot of questions are in the class led by teacher (C). For example, the teacher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economical growth, culture and life of the people. This improves th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reality, and it also let students learn concept and incidents in the historical flow. Teacher(D) who considers the teach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tualize the class figure by student presentation class. Students interpret historical term such as ordinary culture and solve the questions by themselves. Teacher(E) who considered the historical class environment the most showed pictures through TV screen and conducted quiz class. The teacher realized the class figure which students can have interest by considering the class environment.
    The facts regarding the realization and difficulty of teachers by class figur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had overlapping or vague class figure .The class figure pursued by teachers did exist, but it was not clear. This indicates a need for teachers to reconsider the class figure or class intention in detail. When the expected class figure is clear, the value discussion of class is possible. Second, the appropriacy between class figure and realization process need verification. The individual judgment of teacher selected realization method which was quiet limited. Most of the teachers utilized video material to realize the class figure which improves student level, class reflecting student interest, and class efficiently delivering the contents. However, there was a need for more considerations to select which video material will be manufactured to be utilized as class material in detail. Third, the class figure by teachers can be integrated into several conditions. One of the most frequent class figure is to make students interested in class, so the video and visual materials are utilized to realize this. This has not been issued as subject topic in existing curriculum education, but it was quiet familiar and frequent class figure in the field. Many teachers put such class figure above. Fourth,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had were quiet difficult for individual to control. Overload of administrative work, number of students, indifference to students and subjects and other difficulties that teacher judged were difficult to overcome by individuals. There is a need to review this condition.
    Understanding the class design process of history teacher is equal to understanding the total process of class. Understanding the class in specific class model or object like the existing curriculum education is no real help to the field of education. Also, such approach is quiet limited in improving the class led by teachers in the field. In order to overcome this,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class design process before the class. In addition, the appropriacy of class figure and realization, and the difficulty occurring in the process must be reviewed. When such case study continues, and the academics of education supports the study, I believe the gap between the curriculum education and education field can be brid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