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보타산 불긍거관음상(不肯去觀音像)과 고려 중기 보살상 - 봉정사,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연원과 관련하여 - (Bukenqu Guanyin at Mount Putuo, China and the Avalokiteśvara Statues from Mid-Goryeo - Tracing the Origin of the Wooden Avalokiteśvara Statues at Bongjeong and Bogwang Temple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9.06
33P 미리보기
중국 보타산 불긍거관음상(不肯去觀音像)과 고려 중기 보살상 - 봉정사,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연원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02권 / 302호 / 67 ~ 99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이 논문은 안동 봉정사(鳳停寺)와 보광사(普光寺)에 봉안된 고려 중기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연원을중국 절강성 보타산(普陀山)에 안치되었던 소위 불긍거관음상(不肯去觀音像)에서 찾고, 그 상이 고려에 알려지게 된 계기와 시점을 추정해 본 것이다. 그동안 외국 학계에서는 『寶慶四明志』(1227), 『普陀洛迦山傳』 (1361)과 같은 13세기 이후의 기록에 의지해 관음 성지로서의 보타산 개창을 일본 승 에가쿠(惠諤)에 의한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불긍거관음상의 도상을 간직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작례로 교토 센뉴지(泉涌寺)의목조관음보살좌상(1230년 경 남송(南宋) 제작, 일본 장래)을 들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宣和奉使高麗 圖經』(1124)과 『墨莊漫錄』 (북송 선화 연간)에 실린 12세기 전승을 소개해, 불긍거관음상의 등장 및 보타산의 발전에 있어 신라와 고려인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고려와 중국을 왕래했던 사신과 상인들에게 중요한 기도의 대상이었던 불긍거관음상은 이미 12세기에 고려에 알려져 있었을 것이며, 이러한 정보가 바탕이 되어봉정사, 보광사 상과 같은 새로운 관음 도상이 고려 중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egend of so-called “Bukenqu Guanyin” (不肯去觀音, Guanyin who does not want to leave) at Mount Putuo (普陀山) in China and proposes it as the source of origin of the two Avalokiteśvara statues enshrined at Bongjeongsa (鳳停寺) and Bogwangsa (普光寺) at Andong in Korea. A miraculous statue which was allegedly expressed its will to stay at Mount Putuo in the mid-ninth century, Bukenqu Guanyin has been related to a Japanese Buddhist monk Egaku (慧顎), who is described in a series of literary sources written after the 13th century, such as Baoqing Siming zhi (寶慶四明志, 1227) and Putuo luojia shanzhuan (普陀洛伽山傳, 1361), as the person who founded Mount Putuo as the sacred place of the bodhisattva Avalokiteśvara. In addition, a wooden statue now enshrined at Sennyuji 泉涌寺 in Kyoto (made in Southern Song China and brought to Kamakura Japan in ca. 1230) has been regarded as the oldest extant example which was made after the Bukenqu Guanyin. This paper, however, illuminates the role of Silla and Goryeo in establishing the cult of Bukenqu Guanyin at Mount Putuo, based on the 12thcentury records, such as Xuanhe fengshi Gaoli tujing (宣和奉使高麗圖經, 1124) and Mozhuang manlu (墨莊漫錄, first-half of the 12th century). The literary sources inform us that the Bukenqui Guanyin served as the focus of prayer to the Northern Song envoys and Goryeo merchants who travelled between China and Korean peninsula via sea. Based on the evidence, I argue that the Bukenqu Guanyin was already known in Goryeo as late as the 12th century and that the statues at Bongjeongsa and Bogwangsa, which were made in 1199 and late 12th century respectively, are likely to have been made based on the knowledge and the cult of the Bukenqu Guanyin at Mount Putu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