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검색사이트에 관한 저작권법상의 고찰 (A Review of the Web Search Site under the Copyright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08
39P 미리보기
검색사이트에 관한 저작권법상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1권 / 2호 / 409 ~ 447페이지
    · 저자명 : 김정완

    초록

    인터넷 검색엔진은 캐시파일의 생성ㆍ표시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웹페이지를 캐시서버에 저장하고, 이를 웹상에 캐시페이지로서 표시하고 있다. 저작권법의 관점에서 보면 그 웹페이지에 저작물이 업로드되어 있을 경우 캐시페이지의 생성 및 표시가 웹페이지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행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 행위가 저작권자의 복제권 및 공중송신권을 침해하는지가 문제된다.
    그러나 실무적 측면에서는 이용자들이 인터넷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검색사이트의 존재가 불가결하지만, 캐싱이나 검색결과표시의 경우에 일일이 저작권자의 승낙을 요한다고 한다면 광범위한 웹페이지 처리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어 검색사이트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것이다.
    현행 저작권법상으로는 캐싱 등을 허용하는 명문의 규정은 없다는 점에서 이에 관한 취급은 법해석에 맡겨져 있는 셈이다. 이 논문에서는 입법론을 염두에 두면서 검색사이트를 둘러싼 저작권법상의 주요 쟁점에 관한 가능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미국의 Field v. Google, Inc., 412 F. Supp. 2d 1106(D. Nev. 2006)을 중심으로 검색사이트에 관한 미국판례의 동향과 그 적용관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우리나라 저작권법하에서는 검색사이트에 관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첫째, 저작권침해와 관련하여, 한ㆍ미간에는 저작권책임법리와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에 있어서 엄연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둘째, 검색사이트의 직접침해와 관련하여, 검색사이트는 직접침해에 해당하지 않으며, 고의ㆍ과실을 묻지 않고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지 않는다. 그러나 검색사이트 운영자가 저작권자로부터 경고 등을 통해 침해를 인식한 경우에는 즉시 침해정지를 위한 일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세째, 침해주장에 대한 항변사유로서 묵시적 승낙의 법리와 관련해서는, Default Rule을 적용하여 저작권자가 표준프로토콜에 따른 의사표시를 하지 않는 한, 검색사이트의 캐싱표시에 대해 묵시적으로 승낙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넷째, 검색사이트에 관해서도 전통적인 인용(제28조)에 관한 판단기준(명료구별성과 부종성) 대신에 법조문 문언에 충실하게 입각한 판단기준(‘인용목적’, ‘정당범위적 합성’, ‘공정관행합치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검색사이트에 있어서는 저작인격권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Web search engines have the capabilities and functions through which cache files are created and disclosed. They copy the web pages to their cache servers and display these as cached pages on the web (the “cache function”). From the view of the copyrights law, there emerges an issue as to whether such functions infringe upon the original copyright holders’ right to copy and the right to transmit, if the web pages subject to such creation and display functions contain copyrighted materials.
    It is critically for the users to access such search engines in order to meaningfully use the Internet. At the same time, however, if such displays of the search results or the cached files individually require the consent of each copyright holder, then it would be impossible to process massive web pages, which in turn may reduce the functionality of such search engines.
    Our current copyrights law has no explicit provisions on the permission of cache files, and therefore, such uses are subject to judicial interpretations. This paper explorers possible solutions on the copyright issues surrounding search engine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possible legislative issues.
    First, it reviews the trend of the courts in the U.S.A., specifically focusing on Field v. Google, Inc., 412 F. Supp. 2d 1106(D. Nev. 2006). Moreover, it also considers how such issues shall be interpreted under the Korean Copyrights Law.
    First of all, we need to recognize the clear discrepancy between Korea and the U.S.A. in terms of the liability theory on copyrights and the limitations on copyrights.
    Second, with respect to the direct infringements by search engines, search engines are excepted from direct infringements and are not liable for damages regardless of intents or negligence on their part. However, once the operator of a search engine is notified of infringement by warning or other menas by the holder, he or she is required to implement certain measures to stop the infringement.)Third, with respect to the theory of implied license, an affirmative defense to a claim of infringement, unless the holder represents his or her intent in accordance with the stadard protocol, it shall be presumed that there has been am implied license.
    Fourth, it is more desirable to apply the legal standard based on the expressions in the statute (“purpose of quotation,” “compatible with fair practice,” and “to the extent justified by the purpose,” rather than applying the traditional quotation standard under section 28 (“the clearness and distinctness” and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standard).
    Finally, when one considers issues regarding cearch engines, the issue of the moral right of the author shall be reviewed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