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20년 현재 사용중인 한・일 중학교 교과서 어휘 연구 - 1~3학년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vocabulary in Korean-Japanese Middle School textbooks currently in use in 2020 - Focusing on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grades 1 through 3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1.09
20P 미리보기
2020년 현재 사용중인 한・일 중학교 교과서 어휘 연구 - 1~3학년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학연구 / 69호 / 107 ~ 126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which Korea and Japan intend to make their students influenced by, through drawing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tegories that appear in lexical distributions by areas of the meaning of vocabulary in the current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For a qualitative change, the lexical distributio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five major categories of Bunruigoihyou (1964, 2004). In the case of Korean textbook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1.2>, <1.4>, and <1.3>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words. In the case of Japanese textbooks, significant differences are in the order of <1.5> and <1.1>. It was also compared with Lee(2020) that analyzed the vocabulary of a first-year textbook, which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1.2> and <1.3>, <1.5> is shrinking.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textbooks are now slightly ambiguous.
    These tendencies were also found in the medium categories. In the case of Korean textboo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human>,<race・people>, <family>, <members・position> <duty>, <mind>, <economy>, <dwelling>, <clothing>, <foodstuff>, <body> and <life>. On the other hand, Japanese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Korean ones in terms of <instruction>, <quantity>, <time>, <space>, <living organism>, <nature・object>, <animal>, <creation・writing>, and <machinery>.
    In particular, Korean textbooks have more vocabulary associated with humans and families than Japanese ones, while Japanese textbooks have more words related to information literacy which is the same tendency shown in the previous textbooks. In addition, the revision of Japanese textbooks has resulted in a decrease in literature-related vocabulary and an emphasis o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themes.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which Korea and Japan intend to make their students influenced by, through drawing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tegories that appear in lexical distributions by areas of the meaning of vocabulary in the current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For a qualitative change, the lexical distributio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five major categories of Bunruigoihyou (1964, 2004). In the case of Korean textbook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1.2>, <1.4>, and <1.3>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words. In the case of Japanese textbooks, significant differences are in the order of <1.5> and <1.1>. It was also compared with Lee(2020) that analyzed the vocabulary of a first-year textbook, which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1.2> and <1.3>, <1.5> is shrinking.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textbooks are now slightly ambiguous.
    These tendencies were also found in the medium categories. In the case of Korean textbook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human>,<race・people>, <family>, <members・position> <duty>, <mind>, <economy>, <dwelling>, <clothing>, <foodstuff>, <body> and <life>. On the other hand, Japanese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Korean ones in terms of <instruction>, <quantity>, <time>, <space>, <living organism>, <nature・object>, <animal>, <creation・writing>, and <machinery>.
    In particular, Korean textbooks have more vocabulary associated with humans and families than Japanese ones, while Japanese textbooks have more words related to information literacy which is the same tendency shown in the previous textbooks. In addition, the revision of Japanese textbooks has resulted in a decrease in literature-related vocabulary and an emphasis o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the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