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세법상의 조세법률주의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n French Tax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11
24P 미리보기
프랑스세법상의 조세법률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25권 / 3호 / 243 ~ 266페이지
    · 저자명 : 황남석

    초록

    우리 세법상 조세법률주의는 이론 및 실무 모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법원리이다. 조세법률주의는 다양한 내용을 내포하고 그 내용에 관하여는 견해가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과세요건법정주의와 과세요건명확주의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 관하여는 견해의 일치를 보고 있다.
    우리 학계에서는 한동안 조세법률주의의 개념이 필요한 것인지를 둘러싼 논의가 있었다. 현재 그 논의는 소강상태에 있지만 조세법률주의와 같이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성립한 개념에 관하여 폭넓은 비교법적⋅법제사적 연구가 없는 논의는 사상누각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은 그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으로서 근대적 조세법률주의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프랑스인권선언이 태동한 프랑스에서 조세법률주의가 세법상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우리 세법에 대한 시사점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를 종합하면, 프랑스의 조세법률주의는 우리 세법상의 조세법률주의와 기본 정신은 유사하지만 실제로 발현되는 현상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헌법을 필두로 우리 법제와 프랑스의 법제간에는 상당한 간극이 있기 때문에 프랑스의 세제를 우리 세법의 해석에 바로 대입할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프랑스의 조세법률주의가 보편적인 기준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것도 아니다. 적어도 우리 헌법이 조세법률주의를 천명하고 있으며 우리가 수용한 조세법률주의가 일본이라는 프리즘을 투과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현재 우리 학계의 다수와 실무의 주류가 취하는 입장이 타당하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고 본다.
    다만, 프랑스의 조세법률주의를 검토하는 실익은 조세법률주의라는 이념의 발현에는 상당한 정도의 스펙트럼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 우리 법이 취하는 조세법률주의의 기본 입장이 비교법적 관점에서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고 볼 여지가 있다는 점을 깨닫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즉, 우리 세법상의 조세법률주의를 조금 더 유연한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고 그렇게 하는 것도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우리가 비교법적으로 세법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이유도 그러한 시각의 다각화에 있지 않을까 한다.

    영어초록

    In our tax law,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s a legal doctrine that takes a large weight in both theory and practic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has a variety of content and there were disputes with regard to its contents, but there has been a consensus in that it has the contents of legality of tax law and clarity of tax law.
    Also, there was some debate in our academic circles about whether the concept of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s necessary. The discussion is currently in a lull, but I think it is a kind of house of cards like discussion that does not have extensive comparative and judicial studies on concepts that have been established for a long time in history, such as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This article starts from such a sense of critical mind and researches the position of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n tax law and its contents in France, where the French Declaration of Human Rights, which can be called the pioneer of modern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was announced.
    Taken together, the French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s similar to that of Korean tax law in spirit, but the actual manifestations are quite different. Since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our legislative system and that of France, starting from the Constitution, the French tax law system cannot be directly substituted into our tax law in its interpretation. Nor is French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the universal standard. At the very least, considering that our Constitution proclaims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hat our accepted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has been received through the prism of Japan,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ajority of our academic circles and the mainstream of our practice is in a degree persuasive.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o recognize the fact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spectrum in the manifestation of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he basic position of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under our law may not be absolute from a comparative law perspective. In other words, we need to look at our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n a more flexible way and it is not impossible to do so. The ultimate reason why we study comparative tax law may be such a diversification of legal vie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