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화상에 나타난 예술가의 자의식 – 뒤러의 <자화상>(1500년)을 중심으로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Shown in Self-Portraits: Focusing on Dürer’s Self-Portrait(1500))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5.02
19P 미리보기
자화상에 나타난 예술가의 자의식 – 뒤러의 &lt;자화상&gt;(1500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62호 / 7 ~ 25페이지
    · 저자명 : 전한호

    초록

    화가의 자화상은 초상화의 일종이지만 화가가 자신을 그린다는 점에서 주문에 의한 초상화와 구분된다. 본 연구는 15-16세기 북유럽 미술에 나타난 화가의 자화상 중 뒤러의 자화상을 중심으로 화가의 자의식을 밝히고자 한다. 이탈리아에 비해 독일과 네덜란드는 예술가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열악했다는 점에서 중세적 장인으로부터 창의적 예술가로 발돋움하기 시작하는 화가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을 예술가의 자화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일반적인 초상화가 묘사된 개인과 그림을 바라보는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에 목적을 둔다면, 자화상에는 관람자의 시선보다 묘사되는 주체의 속성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16세기 들어서 화가는 점차 자신을 기예에 의존하는 장인이 아니라 철학자, 학자 등 정신적인 존재로 묘사하기 시작한다. 이는 시각예술이 더 이상 손 기술의 결과가 아닌 이성적 사고의 생산물임을 공공연히 하고자 함이다. 독립적 작품으로서 화가의 자화상의 첫 사례는 뒤러를 통해서다. 뒤러는 르네상스 화가로서는 드물게 여러 점의 자화상을 제작했고, 그중 1500년에 제작한 자화상은 중세 말에서 르네상스로의 이행을 보여주는 대표적 작품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관람자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화가의 시선은 대화에 대한 요구이자 개인적인 발언을 위한 장치로 여겨진다. 특히 뒤러는 명문을 통해 자신의 출생지에 대한 자부심과 함께 특별한 채색을 의미하는 “적절한 색”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정면상의 특별한 효과, 명문의 사용 등을 통해 화가가 얼마나 예술가적 자의식을 드러내고자 했는지 논문은 살펴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artist's self-portrait in Northern European art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takes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as the object of study, especially focusing on Dürer's self-portraits. Compared to Italy, the social status and role of artists in Germany were poor, so we can examine the self-consciousness of artists who were beginning to rise from medieval craftsmen to creative artists through the self-portraits.
    In the 16th century, painters gradually began to describe themselves as spiritual beings rather than mere craftsmen. This is to clarify that visual art is no longer the result of manual skill but the product of rational thinking. The first example of an artist's self-portrait as an independent work is through Dürer. Among Dürer's self-portraits, the work from 1500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shows the transition from the late Middle Ages to the Renaissance. Above all, it strongly highlights the person's presence. His strong gaze is a call for conversation and a device for making a personal statement. In particular, Dürer used the expression “appropriate color,” referring to a special color, through his inscrip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ainter's self-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