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찰관직무집행법」상 변화된 국가보상책임에 관한 행정법적 고찰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Law of the National Compensation Responsibility Changed by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08
18P 미리보기
「경찰관직무집행법」상 변화된 국가보상책임에 관한 행정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87권 / 549 ~ 566페이지
    · 저자명 : 오준근

    초록

    2019년 6월 24일부터 시행되는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법률 제11조의2(손실보상) 규정은 행정법학 중 국가보상법 부분의 이론 구성 및 교육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규정은 경찰관의 적법한 직무집행으로 인하여 손실을 입은 자에 대한 국가보상의무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 요건에 손실발생의 원인에 대하여 책임이 없는 자가 생명・신체 또는 재산상의 손실을 입은 경우와 손실발생의 원인에 대하여 책임이 있는 자가 자신의 책임에 상응하는 정도를 초과하는 생명・신체 또는 재산상의 손실을 입은 경우를 모두 포함시키고 있다.
    「경찰관직무집행법」상의 손실보상 규정은 경찰관의 적법한 직무집행행위를 전제로 한다. 위법행위를 전제로 한 것이 아니어서 「대한민국헌법」 제29조와 「국가배상법」에 따른 행정상 손해배상의 영역에 속하지 아니한다. 공익사업을 위하여 적법하게 재산권에 특별희생을 가하는 것이 아니어서 「대한민국헌법」 제23조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른 행정상 손실보상의 영역에도 속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제3의 국가보상영역에 포함될 수밖에 없다.
    제3의 국가보상 영역에 대하여 행정법 교과서는 독일에서 판례법으로 형성되어온 제3의 국가보상영역 특히 수용유사침해, 수용적 침해, 희생보상청구권 등을 소개하고 이를 국내법적으로 도입할 것을 요구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개정된 「경찰관직무집행법」에 규정된 손실보상 규정은 재산권 침해와 관련하여 수용유사침해이론과 수용적 침해이론을 생명・신체의 침해와 관련하여 희생보상청구권 이론을 실정법에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독일의 경우도 「독일연방경찰법」에 일반적 손실보상 규정이 들어온 다음에는 실정법을 먼저 해석한 후에 관습법에 따른 이론을 보완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제시되어 있다.
    이 논문은 개정된 「경찰관직무집행법」이 수용유사침해이론, 수용적 침해이론, 희생보상청구권의 이론을 반영하여 조문화하였으므로 행정법 교과서가 독일 관습법에 의하여 형성된 제3의 국가보상영역을 소개하고 국내에 도입할 것을 요구하기 보다는 이미 법제화된 국내 실정법 규정의 해석 및 적용을 먼저 하고, 독일 판례법을 보완적으로 소개함을 새로운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방향을 적용한 대안으로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으로 새로워진 손실보상규정의 입법연혁을 제시하고, 그 구체적 내용 및 해석기준을 논술하였다. 이 논문을 계기로 행정법학상 제3의 국가보상법 영역에 대한 논의의 무게 중심이 독일 관습법의 소개에서 실정법의 해석으로 그 무게 중심이 이동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rticle 11(2) of the revised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which took effect on June 24, 2019, contains very notable. This regulation stipulates the duty of compensation to those who have suffered losses due to the lawful execution of police officers, The requirements include both those who are not responsible for the cause of the loss of life, body or property and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the cause of the loss but suffer life, body or property losses exceeding their own responsibilities.
    The indemnification regulation under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is subject to the police officer's legitimate conduct of the execution of legal duty. It is not based on the premise of misconduct and therefore does not fall within the realm of administrative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State Compensation Act」. It does not legally inflict special sacrifice on property rights for public service and does not belong to the scope of administrative loss compensa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it will be included in the third national compensation area. The indemnification provisions stipulated in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have many features that it is difficult to incorporate directly into any of the third national compensation areas covered in the existing administrative law textbooks. An explanation could be attempt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loss compensation requirements using the theory of “Der Enteignungsgleiche Eingriff”, “Der Enteignende Eingriff” and “Der Aufoferungsanspruch”, which are developed in the German customary law. But the above theories have a common legal tradition unique to German law, so for the Republic of Korea, it can never be enough to explain the loss compensation introduced in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In the Republic of Korea, such customary law is not formed by precedent like in Germany and the scholars' arguments were not accepted by the court. Because the actual law specifically prescribed indemnification, discussions of administrative law should be shifted to interpretations of the actual law, not to the introduction of the customary law in Germany.
    This paper stems from the small wish that the Korean administrative law textbook would actively accept the changes in the actual law concerning the national compensation liability made in the third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