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례(儀禮)에서 관상(觀像)으로: 신라 불교 부조상(浮彫像)의 양식 전환 (From Ritual to Contemplative Visualization : The Stylistic Transition of Silla Buddhist Relief Sculpture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5.03
48P 미리보기
의례(儀禮)에서 관상(觀像)으로: 신라 불교 부조상(浮彫像)의 양식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9권 / 35 ~ 82페이지
    · 저자명 : 한재원

    초록

    한국 고대 불교 건축과 석조물에 조각된 부조상(浮彫像)은 공간의 맥락과 서사를 형성하는 한편, 수행자와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의례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불교 부조상 연구가 주로 도상적·유형적 분류에 치중한 것과 달리, 이 글에서는 부조의 조형적 특징과 종교 의례적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석굴암 벽면 판석에 새겨진 부조상은 원형 주실과 방형 전실에 배치되어, 요잡(繞匝), 배례, 독경, 진언 염송 등 다양한 의례를 수행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양식적 특징을 보인다. 또한 석탑·승탑·석등·불상대좌 등 여러 석조 유물에 나타난 부조상을 검토해 본 결과, 8세기와 9세기에 뚜렷한 양식적 전환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된다. 요불·요탑과 같은 신체적 수행과 연계되었던 7~8세기 부조상은 입체감은 높은 고부조와 생동감 있는 표현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9세기에 이르러 화엄과 밀교의 확산으로 다라니 염송과 관상(觀像)이 중시되면서, 정면성과 상징성이 강화된 평면적·정적인 양식으로 바뀌어갔다.
    이러한 양식적·도상적 변화는 신라에서 유통된 무구정경, 준제다라니경, 수구다라니경과 같은 밀교 다라니 경전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경전들은 수행과정에서 현현하는 보살과 신중들을 자주 서술하며, 부조상의 도상 구성과 양식 형성에도 중요한 단서들을 제공하였다. 신라의 건축 벽면과 석조물 단면에 조각된 부조상은 이처럼 참배자와 신성을 연결하는 의례적 매개체로 자리 잡았다.

    영어초록

    Relief sculptures(浮彫像) carved on ancient Korean Buddhist architecture and stone monuments played a crucial ritual role by shaping spatial contextand narratives and facilitating interactions with practitioners. While previous studies of Buddhist relief sculptures have primarily focused on iconographic and typological classific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sculptural characteristics of reliefs and their religious-ritual functions.
    The reliefs carved on the stone panels of Seokguram Grotto, arranged in its circular main chamber and rectangular antechamber, exhibit stylistic features aligned with circumambulation(繞匝), prostration, sutra recitation, and mantra chan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reliefs on stone pagodas, stupas, stone lanterns, and statue pedestals reveals a distinct shift in stylistic expression between the eighth and ninth centuries. The seventh- to eighth-century reliefs,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practices such as circumambulating Buddhas and stupas, predominantly feature high-relief carvings with dynamic and lifelike depictions. However, as Huayan and Esoteric Buddhism became more influential in the nin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ed emphasis on dhāraṇī chanting and contemplative visualization(觀像), leading to a transition toward frontal, symbolic, and relatively static compositions.
    These stylistic and iconographic transformation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soteric Buddhist dhāraṇī scriptures such as the Raśmivimalaviśuddhaprabhādhāraṇī(無垢淨光大陀羅尼經), the Cundīdevī-dhāraṇī(准提陀羅尼經), and the Mahāpratisarā-dhāraṇī(隨求陀羅尼經), which frequently describe the manifestation of bodhisattvas and guardian deities during ritual practices.
    These textual account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relief sculpture style and iconography in Silla. Ultimately, relief sculptures carved on architectural walls and stone monument surfaces in Silla functioned as ritual mediators, connecting worshippers with the divine and reinforcing the sacred presence within the ritual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