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관(喪冠)의 형태에 대한 고찰-정약용(丁若鏞)의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hapes of Sanggwan(喪冠): Focused of Jeong Yakyong’s Sangboksang(喪服商) of Sangraesajeon(喪禮四箋))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12
28P 미리보기
상관(喪冠)의 형태에 대한 고찰-정약용(丁若鏞)의 『상례사전(喪禮四箋)』 「상복상(喪服商)」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43권 / 123 ~ 150페이지
    · 저자명 : 차서연

    초록

    본 논문은 상복(喪服)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 가운데 머리에 쓰는 상관(喪冠)에 초점을 맞추어 정약용(丁若鏞)이 제시하는 형태를 고찰한 것이다. 『의례(儀禮)』 「상복(喪服)」은 상복의 형태를 규정하는 경학적 근거로 후대까지 존숭되어 왔다. 조선의 상복 제도는 주자(朱子)가 「상복」과 송 대의 시속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저술한 『가례(家禮)』를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정약용은 『가례』를 존숭하면서도 고례인 『의례』에 대한 세밀한 고증으로 창의적인 상관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관(冠)은 머리에 쓰는 것으로 머리를 중요시하는 상징성을 갖는다. 상관(喪冠)도 ‘관’의 한 종류로서, 머리 정수리를 덮는 부분인 관과 머리둘레를 두르는 부분인 무(武)로 구성된다. 정현(鄭玄)의 주석 이래로 한 가닥의 끈으로 무를 만들면서 상관이 관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관의 안에 다시 건(巾)을 써서 형태를 지탱하거나 머리를 수습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다.
    정약용은 고례에서 상복이 변복(弁服)이었으므로 상관은 변(弁)의 제도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상복」에서 상관에 관해 분명하게 기록하지 않은 이유가 상복이 변복을 원용한 것이므로 관과 무의 소재와 크기는 모두 변과 같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경에 기록이 없는 부분은 조선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이 고례의 변복에 해당하므로 양관(梁冠)을 기준으로 상관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정약용의 제안은 고례에 대한 정밀한 고증을 통해 상관이 변복의 변과 동일한 규격과 소재임을 규명함으로써 ‘한 가닥의 끈으로 만든 무’로 해석한 정현의 오류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곤란함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나아가 당시 조선 사람에게 익숙하고 제작하기 편리한 양관의 형태로 상관을 만들어 사용하도록 하여 의례의 수행 가능성을 높이려고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Jeong Yakyong’s view by focusing on the Sanggwan among various Sangbok(喪服). ‘Yili’(儀禮) Sangbok has been respected to later generations as a rationale for defining the form of mourning. The mourning system of Joseon was centered on the Family rituals(家禮) that the Song dynasty respected Zhu Xi(朱子) wrote which appropriately reflected the traditions of Sangbok and Song dynasty. While Jeong Yakyong respected the ‘Family rituals’, he made creative arguments about the form of the Sanggwan with detailed testimony to the Gorea(古禮)'s ritual.
    Gwan(冠) is a hat that is worn on the head and it symbolizes the importance of the head. Sanggwan is also a kind of ‘Gwan’, which consists of the head covering 'Gwan(冠)' and 'Mu(武)' that is put around the head. Since the Chinese philosopher Zheng Xuan(鄭玄)'s remarks, Sanggwan has been unable to function as a Gwan, making Mu from a strand of string.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re was a situation in which Gun(巾) was worn in Sanggwan again to support the form or to fix the head.
    Jeong Yakyong insisted that Sanggwan was based on Byun(弁)'s system because Sangbok was Byunbok(弁服). It was interpreted that the reason why Sanggwan is not written clearly in Sangbok is because Sangbok made a use of Byunbok, so the material and size of Gwan and Mu are the same as Byun. The part where there is no record in Jing(經) is suggested that Jobok and Jaebok of Joseon Dynasty are the ByunbBok of the ritual, so Sanggwan should be made based on Yanggwan.
    Jeong Yakyong's proposal revealed that Sanggwan is the same standard and material as Byun of Byunbok through precise investigation of the ritual thereby tried to correct Zheng Xuan's error and the difficulties that resulted from 'Mu made of one strand of string'. In addition, it can be evaluated that they attempt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possibility of the ritual by making Sanggwan in the form of Yanggwan, which is familiar to the Joseon people and convenient to mak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