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줄다리기의 원형복원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삼척 기줄다리기 사례를 중심으로- (Circular Restore and Culture-contencs Plan of Juldaligi-Instance of Samcheok-Gijuldaligi-)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09.04
47P 미리보기
줄다리기의 원형복원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삼척 기줄다리기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38호 / 241 ~ 287페이지
    · 저자명 : 이창식

    초록

    삼척 기줄다리기는 한국 줄다리기 중 전통사회에서 전승된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민속놀이다. 삼척정월대보름제에는 이와 관련된 기줄다리기 세시풍속을 계승하고 한마당잔치를 통해 지역 사람들에게 자긍심과 화합정신을 도모하고 참여형 문화관광축제 곧 지역경제를 활성하고자 하는 취지가 보인다. 관련 문헌 탐색과 타지역 비교시각에서 삼척시 기줄다리기의 정체성과 지역문화 활성화 측면을 드러내야 한다. 전국 분포권과 동아시아와 세계 줄다리기의 분포양상 등을 비교하여 삼척시 기줄다리기의 성격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제는 한국 줄다리기의 일반적 존재양상 속에서 조망해 삼척 기줄다리기의 특수성을 발견해야 한다. 기줄다리기가 농경생업과 어로생업의 관계양상, 민속신앙과 향토오락 등을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대동놀이의 전승형태는 지역민의 연중행사인 축제와 결부되어 왔다. 민속놀이가 그 지역의 다양한 풍속도 함유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기에 지역민의 인성(人性)을 고려해야 한다.
    전통사회의 기줄다리기와 오늘날 정보화 시대의 기줄다리기는 다르다. 기줄다리기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변화하는’ 요인의 창조적 처방이 필요하다. 공동체 오락 이상의 가치로 삼척 사람들의 과거 기줄다리기에 매달렸다. 오늘날 이를 강조해도 소용없다. 오히려 과거의 근간으로 하여 해방구의 즐거움을 주면 기줄다리기에 정신적 물러섬과 뺏김과 섬김의 미학적 창출이 가능하다. 기줄다리기의 놀이적 신명 영역을 새롭게 설계해야 한다. 삼척시, 삼척 사람들의 고민이 여기에 있다. 기줄다리기의 축제성을 이 대목에서 다시 따져야 한다. 기줄다리기의 문화구도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무형문화재 세계문화유산 등재화 과정이 실천되어야 한다.
    기줄다리기에는 놀이의 기본적 요소, 겨루기의 축제적 다층성, 공동체집단의 속신적 세계관 등의 국면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시적인 집적 속에 지속과 변화를 보여준 흔적을 읽을 수 있었고, 최근 행사 속의 기줄다리기 역시 편의 위주로 변질된 측면도 있다. 문화적 가치를 원형이라는 이름으로 따지되 창조적 요인을 중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원형과 창조의 이분법이 아닌 원형 연출과 전통 창조의 상생법이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 기반에 삼척정월대보름제 주도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삼척정월대보름제는 건강한 축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줄다리기에 대한 종합적 연구를 해야 한다. 원형 복원의 학술적 고증 작업을 통한 세계문화유산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정립시켜야 한다. 아울러 세계화 전략을 위하여 기줄다리기의 가치의 재인식,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 개발, 기록화를 통한 상징박물관 보강과 연구, 비교 홍보의 우위성 확보 등을 주문하고 싶다. 기줄다리기가 유네스코 무형유산대표목록으로 등재되도록 위원회 조직이 절실하다. 경남 영산, 충남 당진, 충북 목계 등의 줄다리기 전승지역과 연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강릉단오제에 대한 국제학술회의가 수차례 열려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것처럼 줄다리기 주요 전승지역의 연계활동을 통한 학술프로젝트가 필요하다. 정월대보름 민속자원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해 서둘러야 한다. 기줄다리기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전반적 재검토와 아울러 과거 전통적인 원형 연구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영어초록

    Juldaligi(tug-of-war) was embodies the group result cohesive force of the area and is solidarity playing. The area discussion which is reflected to the Juldaligi is a side of creative variation and tradition from existing data. It is a tribute to topology of Juldaligi, also Samcheok January 15th of January system and relationship of Samcheok-Gijuldaligi has to be paiol attention.
    Samcheok-Gijuldaligi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Samcheok-Gijuldaligi of today are different. It defends the identity of Samcheok-Gijuldaligi and ‘changes’ the creative prescription of the necessary. It must plan the play new life territory of Samcheok -Gijuldaligi newly, must question the festival characteristic of Samcheok-Gijuldaligi. It has to think the cultural composition of Samcheok-Gijuldaligi again.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world-wide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process must be practiced from this senior line.
    World-wide cultural heritage universality and the peculiarity which lead the scientific historical investigation work of Samcheok-Gijuldaligi Circular restore must take a triangular position. For a globalization strategy together new understanding and story of value of Samcheok-Gijuldaligi [theyl] orders high position characteristic security etc. Symbol museum reinforcement which leads a ring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a record and research and comparative public information meed to be emphasized, in order to be registered in UNESCO as an intangible miscarriage representative tring. Samcheok-Gijuldaligi should be the the commission organization must work earnestly.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ecurity of Samcheok-Gijuldaligi must make haste. In conclusion, Samcheok-Gijuldaligi has to be thought do making a world wide culture from a local folk fesiv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