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씨삼대록>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Marriage of Foreign Woma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LimSsiSamdaerok)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2.06
38P 미리보기
&lt;유씨삼대록&gt;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25호 / 307 ~ 344페이지
    · 저자명 : 최수현

    초록

    본고는 국문장편소설 가운데 하나인 <유씨삼대록>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국문장편소설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향유되어 온 <유씨삼대록>에는 몽골족 여성이 한족 남성과 혼인하는 과정과 그 후의 궤적이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어, 이민족에 대한 인식의 한 측면을 확인하게 해 준다.
    <유씨삼대록> 속 몽골족 북원공주로 설정된 이민족 여성은 한족 명인 남성과의 만남, 패전국 전쟁 볼모로서 명의 입성, 혼인 후 동화 실패와 주변화 되기라는 세 단계를 걸쳐 한족 내부로 편입되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이 과정에서 혼인이라는 경험을 통해 명인과 북원공주는 서로 상대에 대해 가졌던 고정된 인식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유씨삼대록>은 이민족에 대해 인간적인 면모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면서도 끝내 내부로 받아들이는 것에는 배타적인 인식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간으로서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점은 이민족 여성에게 발화와 판단의 표출 기회를 주며 그 행동과 자질에 대해 비록 명을 중심으로 한 잣대로 평가한 것이기는 하나 의기가 있다고 평을 한다는 것에서, 배타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은 혼인과정이 위계화 된 채 이루어진다는 점과 이민족 여성이 한족에 끝내 동화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이 같은 <유씨삼대록>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는 한족 내부의 결속을 다지고 국가에 대한 유부의 충성심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도록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한족 내부에 있던 문제점들을 환기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씨삼대록>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는 이민족에 대해 인간으로서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시선을 보여주었다는 점과, 이민족의 문제를 사적 차원이 아닌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다루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rriage of a woman of foreign origi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feature-length story in Korean Language, LimSsiSamDaeRok. Widely read from the early stage of its kind, the LimSsiSamdaerok describes the marriage between Mongolian woman and Han Chinese, and their life in detail. It calls for a scholarly attention as it reveals an aspect in perception on foreigners in the feature-length story in Korean Language.
    The marriage in the LimSsiSamDaeRok consists of three stages. First, the Mongolian princess Bukwon met a Han Chinese man from Ming dynasty. Second, Bukwon came to Ming as a hostage after Mongol was defeated by Ming. Lastly, she failed to adapt and became an outsider. In this process, the Han Chinese and the Mongolian partially amended their fixed ideas regarding each other.
    The LimSsiSamDaeRok represents both antagonistic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foreign woman. The wedding process was hierarchical and the foreign woman was not able to adapt to the Han culture. However, in the positive note the woman was given the chance to speak and was deemed courageous although they applied the norms of Ming. As seen here, the marriage in the LimSsiSamdaerok promotes the superiority of Han Chinese and in effect the loyalty to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it reminds of the issues embedded in the Han Chinese. Reflecting the national issue beyond the apparent description of romance, the marriage in this story is note worthy as it represents multifold perspective towards foreig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