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갑사 대웅전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연구 (Clay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nd Four Standing Bodhisattvas in Daeungjeon Hall of Gapsa Templ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갑사 대웅전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00권 / 300호 / 167 ~ 195페이지
    · 저자명 : 김광희

    초록

    본 연구는 공주 갑사 대웅전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四菩薩立像(약칭 ‘갑사 소조삼세불상’)을 면밀히 고찰하여 칠존 형식의 도상, 조각승 幸思의 양식적 특징과 제작기법, 그리고 조성배경과 조각사적 의의를 재조명한 글이다.
    갑사 대웅전 소조삼세불상은 1617년에 조성된 조각승 행사의 불상으로 조선후기 불상 가운데 시기적으로 이르고 장대함이 돋보이는 대형 소조불상이다. 이 불상은 납작한 신체 표현이나 평면적인 상반신에 반해 양감 있는 하반신이 독특하며 세 여래상과 4구의 협시보살상으로 구성된 칠존 형식도 우리나라에서 드문 사례로 주요한 특징이다. 갑사 불상의 칠존 형식에 대해 이전 시기 삼세불의 협시상 구성과 보살상 보관에 묵서된 ‘彌勒’명을 토대로 도상을 재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갑사 삼세불상은 석가, 약사, 아미타의 삼세 불과 문수, 보현, 미륵, 제화갈라보살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시공간적 개념을 함의하는 삼 세불상으로 이전 시기와 다른 새로운 도상 조합이며 조선시대 삼세불의 변화양상과 그 배경을 살펴 볼 수 있어 중요하다.
    또한 갑사 소조삼세불상은 복장발원문을 통해 행사가 수조각승으로 처음 등장하는 유일한 불상으로 밝혀져 그 의의가 큰데 그의 양식적 특징과 제작기법을 상세히 다루었다. 행사는 긴 상반신과 낮은 무릎의 신체비례, 착의법과 옷주름, 보살상 보관, 목걸이 등에서 16세기 양식의 계승과 17세기 보편적인 양식이 나타난다. 또한 사승관계로 추정되는 覺敏의 영향을 받아 이마가 넓은 얼굴형, 각진 어깨, 마른 체형 등을 표현하였으며 각민이 귀족적이고 입체적인 얼굴을 표현한 반면 행사는 평면적이고 넓적하며 친근감 있는 표정의 얼굴을 조형하였다. 한편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갑사 소조불상이 여러 목재를 연결한 목심 위에 흙을 바른 목심소조기법으로 제작되었음을 밝혔으며 유례없는 건칠보관의 제작기법에도 주목하였다. 즉 행사는 나무, 흙, 건칠의 다양한 재료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등 뛰어난 조각승이라 하겠다.
    마지막으로 발원문에 등장하는 승려 360명, 속인 1974명 등 2300여명의 대규모 시주자를 분석하여 상당히 높은 신분으로 추정되는 비구니 妙聰과 갑사 출신의 승병장 靈圭를 비롯한 충청, 전라도 지역의 조각승과 승려집단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갑사 소조석가여래좌상 및 사보살입상은 당시 갑사 불사의 규모와 사찰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ses in detail the iconography of seven Buddhas and bodhisattvas, the style and production technique of the monk sculptor Haengsa, and the context of production and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lay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nd Four Standing Bodhisattvas in Daeungjeon Hall of Gapsa Temple(Hereafter, the Clay Buddhas of Three Worlds in Gapsa Temple).
    The Clay Buddhas of Three Worlds in Gapsa Temple are the works of the monk sculptor Haengsa, made in 1617. They are clay-made sculptures of monumental size and are early examples of Buddhist sculpture from late Joseon. The contrast of the flat upper body and the voluminous lower body is distinctive and the scheme of three Buddhas and four bodhisattvas is rare to find. The iconography of seven Buddhas and bodhisattvas have been understood as a variation of the Buddhas of Three Worlds and attending bodhisattvas, as the name “Maitreya” is written on the crown of a bodhisattva. Consequently, the three Buddhas are assumed to be the Buddhas of Three Worlds, namely, Sakyamuni, Bhaisajyaguru, Amitabha, and the four bodhisattvas, Manjusri, Samantabhadra, Maitreya, and Dipamkara. The concept of the Buddhas of Three Worlds encompassing all space and time, is an original iconography that displays the changes of three Buddhas and its context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Buddha triad is also the only work that names Haengsa as its main sculptor in the letter of prayer found inside the sculpture.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technique are also examined in detail in the study. Haengsa favored a long torso and flat knees in his sculptures, whose vestments and drapery, and the crown and necklace of the bodhisattvas combined the traditions of the 16th century and the new style of the 17th century. The sculptures also show the influence of Gakmin, a monk sculptor assumed to be Haengsa’s teacher, in its wide brow, angular shoulders, and slender body. However, whereas Gakmin’s facial features are more pronounced and aristocratic, Haengsa’s Buddhas have more friendly, flatter, and wider faces. As for the production technique, scientific research reveals that clay was put over cores made by joining several pieces of wood. The technique of lacquer used on the crown is also remarkable. In conclusion, Haengsa was an exceptional sculptor who had command over different materials such as wood, clay, and lacquer.
    Lastly, the letter of prayer lists the names of over 2,300 donators-360 monks and 1,974 laymen. The names include female monk Myo-chong, apparently of a high status, monk Yeong-gue from Gapsa Temple who led an army of monks, and monk sculptors and monks from Choongcheong-do and Jeolla-do Provinces. This is significant as they are indicative of the importance of the temple and the Buddhist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