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체의 은유와 예술작품 연구 - 마크 퀸의 작품에 드러난 삶과 죽음의 의미와 환유적 전이 - (A Study on Nietzsche’s Metaphor and Works of Art - Meaning of Life and Death and ‘Metonymic Transition’ in Mark Quinn’s Work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6.12
24P 미리보기
니체의 은유와 예술작품 연구 - 마크 퀸의 작품에 드러난 삶과 죽음의 의미와 환유적 전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9권 / 9호 / 73 ~ 96페이지
    · 저자명 : 이원경, 조기주

    초록

    본 연구는 작품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연구자가 작품을 만들며 다른 작가들의 예술작품을 이해함에 있어 갖게 된 의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역사적으로 보편적이고 언어적인 철학이나 진리 개념으로써 예술작품을 이해하고 그 위상을 증명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해 연구자는 스스로의 작품을 만들면서 그와 같은 진리 개념이 예술작품의 제작과 이해에 관련이 있다는 인식에는 강한 거부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연구자의 이러한 생각은 후기구조주의 언어학자들에 의해서 제기되고 연구된 바 있기에, 이번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겠다. 그 대신 연구자는 그들의 큰 스승이라 말할 수 있는 니체를 소개하며 그의 은유 개념을 고찰하였다. 니체는 개념화에서 벗어나는 언어의 힘을 은유라고 보았다. 은유를 통해 언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인식적이고 철학적이며 개념화된 보편적인 담론이 지니는 개념의 ‘고정성’은 현실 세계의 사물과 존재자의 실체를 진정한 모습으로 드러내거나 말 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렇기에 은유는 언어의 한계이지만, 니체는 모든 존재하는 것에 대해 생생한 의지로서의 ‘은유 구성의 충동’이 삶을 더 풍부하게 만든다고 했다. 또한 은유 안에 내재하는 창조의 성질로 이 세계의 모든 존재의 실체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므로 ‘은유는 언어의 한계이지만 존재 안에 내재하는 예술성’임을 알아보았다. 이런 니체의 사상과 더불어 본 연구는 이성의 영역 안에서 전통적이고 고정-불변하는 진리개념에 반기를 들며 감성의 영역으로써 끊임없는 변화와 생성에 주목하는 마크 퀸의 작품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그의 냉동 형태의 조각과 꽃 이미지 작품을 분석하며 퀸이 강조하고자 하는 생성과 소멸의 의미는 ‘삶과 죽음’을 은유하고, 더불어 이 삶과 죽음의 양가적 성격은 늘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상징한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 은유의 작용을 알아보고자 퀸의 작품 <Self>의 두상과 혈액의 이미지가 삶과 죽음과 관련하여 어떻게 유비와 환유를 통해 은유적 의미의 전이를 거치게 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 개인의 관심과 애정을 담고 있는 퀸의 작품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예술작품이 이 은유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해석되어질 수 있으며 개념적 고정성을 넘어 얼마든지 변화하고 생성하는 의미의 확장이 자유롭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an from the questions conceived by me who is still working on art making while producing art works and understanding other writers’ art works. In respect of history, along with universal and linguistic philosophy or truth concept, there have been trials to understand art works and demonstrate their status. However, In this respect, I have produced art works for myself and had strong resistance against perception that the truth concept like that is related with art work production and understanding. This idea by my questions was suggested and studied by post-structuralism linguists, so it is not covered myself. Instead, I introduced Nietzsche who could be called their master and examined his theory of metaphor. Nietzsche considered metaphor as the power of language escaping form conceptualization. ‘Fixedness nature’ of concepts from perceptional, conceptual, universal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in the process for language to create through metaphor can not be called as the true aspect of reality of a being and object in reality. For this reason, Nietzsche stated that though metaphor would be a limitation of language, ‘composition and nature of metaphor’ as a vivid volition for every being could much enrich their lives. As the creative nature inside of metaphor could come closer to the reality of every being, it was disclosed that ‘metaphor is a limitation of language and an artistic value inside of a being.’ Along with this philosophy of Nietzsche, I tried to analyze works by Marc Quinn who resisted against traditional, fixed and immutable concept of the truth within the realm of reason and pay attention to incessant change and creation within the realm of sensibility. Specifically, by analyzing images of frozen pieces and flowers, it was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creation and extinction he focused on was a metaphor for ‘life and death’, and this ambivalent nature of life and death symbolized their inevitable conn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operation of metaphor at his works, it was investigated that how images of heads and blood from Quinn’s work, <Self>, went through transition of metaphorical meaning with analogy and metonymy in relation to life and death. In this process, I was realized that all other art works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is metaphor process as well as Quinn’s works I have interest and favor on and it could be possible to expand the meaning of change and creation far beyond the conceptual fixedness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