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1735~1815)의 삶과 생활세계 - 언간(諺簡)과 언교(諺敎)를 중심으로 (The life and life-world] of Hyegyeonggung Hong(1735~1815) - Based on her Eongan(諺簡) and Eongyo(諺敎))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05
26P 미리보기
혜경궁홍씨(惠慶宮洪氏)(1735~1815)의 삶과 생활세계 - 언간(諺簡)과 언교(諺敎)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21권 / 1호 / 229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남희

    초록

    이 글에서는 혜경궁홍씨의 사적인 기록으로서의 언간과 공식적인 기록으로서의 언교를 주요한 분석 자료로 삼아, 그녀의 삶과 생활세계를 일별해보고자 했다. 언간과 언교를 매개로 삼아서 역사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재구성해보고자 한 것이다.
    혜경궁홍씨 언간은 시누이 화순옹주와 우의정 채제공에게 보낸 것이다. 화순옹주에게 보낸 언간은 사도세자가 대리청정 하던 시기에 써진 것이며, 세자와 원손남매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마음이 담겨 있다. 채제공에게 보낸 언간은 공적이며 정치적인 함의를 지니고 있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를 화성으로 옮기려 하고 있었으며, 아들의 건강을 걱정하는 간절한 마음을 보여주고 있다.
    혜경궁홍씨의 언교는 정조 연간에만 나타난다. 혜경궁홍씨가 정조의 생모였기 때문이다. 그 정치적 권위는 정조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정치적인 성격의 언교는 보이지 않는다. 대신들의 요청에 대해서 언문으로 비답을 내리는 정도였다. 대부분의 언교는 혜경궁홍씨의 회갑연과 관련된 것이다. 1795년 정조는 혜경궁홍씨의 회갑연을 화성에서 성대하게 열었다.
    이 같은 언간과 언교에 대한 검토는 지금까지 한중록을 통해서 혜경궁홍씨의 일생을 이해해온 것에 대한 보완 작업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궁중에서 일생을 보낸 혜경궁홍씨의 삶과 생활세계에 대해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Hyegyeonggung Hong's personal record of ‘letters in Korean’[Eongan(諺簡)] and ‘instructions in Korean’[Eongyo(諺敎)] in the Royal Palace. Through the analysis ot these original materials, we want to explore the life and life-world of Hyegyeonggung Hong in the Royal Palace. And this article is going to try to review and reconstruct the story of her life and thinking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One of her letter in Korean was sent to Princess Hwasun, her sister-in-law. The letter sent to Princess Hwasun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Regency of the Prince’ of the Prince Sado, and was intended to promote the stability of her son, later the King Jeongjo and daughter from the strict and stubborn King Yeongjo. And the other letter in Korean was sent to Chae Je-Gong, who was a highest-ranking official in the Royal Court. The letter had a public aspect and showed certain formal implications. At that time, King Jeongjo was trying to move the tomb of his father, the Prince Sado to Suwon. It was a big project which won the King Jeongjo’s heart and attention. She expressed her sincere worry about his son, King Jungjo’s health.
    Her Eongyo appear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of King Jeongjo's Period. This was because she was the mother of King Jeongjo at that time. The authority and power of Hyegyeonggung Hong was derived from her son, the King Jeongjo. But there was no special political influence or political meaning. In fact, they were a kind of reply or answer to the requests of high-ranking officials or Royal Court. And they were related to her sixtieth birthday banquet, and sixtieth birthday was very important to all Koreans in personal life. In 1795, King Jeongjo held a wonderful banquet for his mother, Hyegyeonggung Hong in Hwaseong. The review of such Eongan and Eongyo could have a little significance as a complement to the understanding of her life so far only through the Hanjunglog, her own memoirs on her life. I hope this article can help us get a whole and three-dimensioned grasp of Hyegyeonggung Hong's life and life-world(Lebenswe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