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 발달장애인의 미용관리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Beauty Management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Adult Developmental Disable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9.12
34P 미리보기
성인 발달장애인의 미용관리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1권 / 6호 / 1117 ~ 1150페이지
    · 저자명 : 이원정, 윤은재

    초록

    지난 해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등록 장애인 현황을 살펴보면 발달장애인(지적, 자폐)은 2015년 6.9%에서 2018년 9.0% 조사되었다. 이에 생애주기별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복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들은 사회복지시설이나, 주간보호 센터 등을 통해 다양한 사회경험을 배우게 된다. 하지만 전체 성인발달장애인의 비율에 비해 부족한 시설과 미비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고, 자기관리 프로그램에서는 미용관리가 가장 높은 호응도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미용관리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충남 소재 A복지관의 주간보호시설에 다니고 있는 25∼55세의 성인 발달 장애인 2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1회의 미용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대상자는 남․여의 구분을 하지 않았으며, 발달장애의 구분은 하지 않았으나. 장애정도가 경증인 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미용관리프로그램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회기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전 일반적인 문항, 미용관리실태 문항과 삶의 질 문항으로 구성 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12회기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 삶의 질 문항 설문지를 다시 배포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12주간 미용관리 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 t-test)과 삶의 질 사전 사후 측정치에 대해 Wilcoxon의 부호순위검정으로 추가 비교분석 하였다. 삶의 질 전체의 사후 검사 평균은 3.52로 사전 검사 평균 2.74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t=-12.448, p<.001). Wilcoxon의 부호순위검정의 비교분석 결과 역시 대응표본 t검정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로서 성인 발달장애인의 미용관리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좀 더 체계화 된 미용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촉매역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ercentage of registere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reased from 6.9% in 2015 to 9.0% in 2018. Accordingly, a number of educational and welfare programs have been offered for different stages of life of these individuals. They engage in and acquire social experience through programs conducted b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or adult daycare centers. However,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programs offered are limited compared to the percentag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articular regarding self-management programs, even though beauty management programs have been well-received are popula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beauty management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a beauty management program once a week for twelve weeks with twenty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a welfare center. Gender was not distinguished and mostly only those with mild case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Before the first session of the beauty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surveys regarding general questions, beauty management conditions, and the quality of life; thus, thee effects of the beauty management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of was assessed. After twelve sessions of the program, they completed another survey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welve weeks of beauty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aired sample t-test and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o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quality of life were conducted. Post- test on the quality of life presented an average of 3.52, which is a meaningful increase compared to 2.74 in the pre-test (t=-12.448, p<.001).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lso yielded the same results. Thus, it was established that the beaut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ectedly, this research would lead to the development of more systemized beauty progra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