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Vita Activa와 Vita contemplativa: 삶의 유형에 대한 개념사적 논의 (Vita Activa and Vita Contemplativa: A Study on Patterns of Life from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Its Concep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1.09
29P 미리보기
Vita Activa와 Vita contemplativa: 삶의 유형에 대한 개념사적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56호 / 27 ~ 55페이지
    · 저자명 : 전광식

    초록

    인간 삶의 방식 내지 유형에 대한 논의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미 B.C. 4~5세기경 고대 희랍에서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철학자들에 의해 βίος θεωρητικóς 와 βίος πρακτικóς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들은 이 개념 외에 그것들과 유사한 θεωρία와 βίος πολιτικός 등과 함께 인간의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이 두 용어는 후기 고대로 넘어오면서 로마문화권 속에서 라틴어 vita activa와 vita contemplativa로 번역되었고, 우선은 키케로나 세네카 등에 의해 로마의 지성인들의 삶에 대한 반성으로 심도있게 다루어지다가 이후 철학계를 넘어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토마스 아퀴나스에 이르기까지 기독교사상가들에게서 신앙적 삶의 방식을 두고 광범위하게 다루어졌다. 그 후 르네상스와 근세의 논의를 거쳐 20세기 정치사상가 Hannah Arendt에 이르기까지 장구한 논의의 역사를 보여준다.
    전통적으로 vita activa는 정치가들이나 정치에 참여하는 학자들의 삶과 사회적 봉사를 주요과제로 하는 수도자들이나 종교인들의 삶을 지칭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vita contemplativa는 진리탐구에 매진하는 학자들의 사변적 삶과 사막이나 수도원 등에서 은거하면서 금욕과 명상 등 수행적 삶을 사는 은수자 내지는 수도자의 삶을 의미했다.
    이 개념논의의 초기부터 고대 희랍철학자들은 물론 동서방의 기독교사상가들까지 정치계에 강하게 연루되어 있던 키케로 같은 일부 학자들을 제외하고는 vita contemplativa를 vita activa보다 나은 삶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했던지 아니면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보이듯이 이 두 가지 삶을 종합한 vita mixta를 이상적으로 삶으로 제시하였음을 볼 수 있다. 반면 현대에 이르러 이 주제에 대해 심도있게 연구한 한나 아렌트는 vita activa를 노동, 생산, 행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면서 그것을 근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인간의 조건(conditio humana)라고 간주하였다.
    이 두 가지 삶의 유형은 오늘날도 인간의 삶에 적용되는데, 특히 교수들과 같은 학자들의 삶과 종교인들의 삶에 적용된다. 우선 종교인들의 경우 중세처럼 여전히 은둔이나 도피가운데 명상과 기도에 주력하는 수행자들이나 좁은 의미에서의 종교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자기 사역에 충실하는 종교인들은 vita contemplativa에, 반면 봉사와 구제같은 사회사업에 주력하는 이들을 vita activa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학문의 전당에서 연구하고 가르치는 대학의 교수들이나 학자들에게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전개된다. 오로지 상아탑에서 진리탐구나 학문연구에 중점을 두는 vita contemplativa 형의 학인들이 있는 반면에, 제도권정치나 행정기관에 참여하거나 아니면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교수들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도 대학교수나 학자들의 과제와 사명이 무엇인지에 대한 견해차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전자는 진리탐구자체가 사명이고, 후자는 진리의 실천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개념으로부터 우리는 인간 삶의 다양한 패러다임을 도출해 낼 수 있다: vita voluptatis 또는 vita cupiditatis(욕망중심의 삶 내지 쾌락주의적 삶)의 유형, vita contemplativa(순수한 학문연구의 삶과 종교적 수행의 삶)의 유형, vita activa(사회실천적 또는 정치지향적 삶)의 유형, vita mixta(이론과 실천, 관조와 참여가 조화를 이룬 삶)의 유형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마지막 유형은 양쪽 각기의 비중에 따라 관상중심적, 활동중심적, 그리고 균형적인 형태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cademic discussion on ways of human life has quite a long history, as βίος θεωρητικóς and βίος πρακτικóς already had been used in the hellenic philosophical texts in B.C. 4-5 centuries. Platon and Aristotle were the first scholars who engaged in research on it with those concepts and other as βίος πολιτικός and θεωρία. The greek terminology had been translated into Latin as Vita activa and Vita contemplativa which have been used from Cicero and Seneca through medieval christian thinkers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to Hannah Arendt at the present time.
    Vita activa indicates mostly the lifestyle by which politician or scholar participate in political realm directly or by which priest or pastor take social works as his main task. In contrast to it, Vita contemplativa points originally to the speculative life of philosopher in ancient greek context as well as to the ascetical life of anchoret in christian background.
    From the history of the concepts, we find that ancient greek philosophers as well as western and eastern church fathers mostly considered Vita contemplativa better than or superior to Vita activa on the one hand, some thinkers suggested vita mixta, a third lifestyle, as the best one, trying to combine both on the other hand. Meanwhile, Hannah Arendt stressed on Vita activa as a basic and necessary conditio humana; according to her, human life is basically a Vita activa which consists of work, labour, and action.
    We can propose various paradigms of human life, above all of professors or scholars and clergy, from traditional discussion on Vita activa and Vita contemplativa: vita voluptatis or vita cupiditatis, vita contempaltiva, Vita activa, Vita contemplativa containing action, Vita activa containing contemplation, vita mixta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