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의의 관점에서 기생의 삶을 해석하기 (Interpreting the Lives of Gisaeng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Standpoint of Justi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정의의 관점에서 기생의 삶을 해석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54호 / 155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영민

    초록

    이번 학술대회에서 “正義”를 기획주제로 정한 것은 “公共의 善”이라는 현재적 가치, 현재적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고전문학에서의 정의를 사유하자는 의도이다. “정의”는 사전적으로 “公正한 것”. “正當한 道理”로 규정된다. 公正은 “公平하고 正直한 것”, 公平은 “公正而不偏袒” 즉 공정하여 치우치지 아니한 것, 正直은 “公正無私” 즉 공정하여 사사로움이 없는 것으로 규정된다. 결국 정의는 법적, 제도적, 관습적으로 공정한 것, 치우치지 아니한 것, 사사로움이 없는 것이다. “公共”은 국가 사회의 구성원에게 두루 관계되는 것, 국가 사회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번 학술대회의 의도는 법적, 제도적, 관습적으로 국가 사회의 구성원이 두루 공정하고, 치우치지 아니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삶을 공유하는 길을 사유하자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조선시대의 신분제 사회, 남녀차별의 사회에서 하위주체로 이중적인 차별을 받았던 기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오늘날의 공공의 선, 공정하고 치우침이 없는 사회를 향해 가는 길목에서 무슨 일을 어떻게 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기생들은 신분차별, 남녀차별이라는 자기 시대의 배치 안에서 법적, 제도적, 관습적인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가족제도의 부당함에 분노하고, 성적 유린에 제도적으로 저항하고, 妓役에서의 부당한 처우에 항의하였다. 또 자신이 추구하는 정체성을 외부에 알리고, 자신의 뜻을 죽음으로 지키며, 자기 시대의 배치를 바꾸어갔다. 그 결과 기생들의 행동은 동시대의 가시성의 배치를 바꾸었고 신분차별, 여성차별을 철폐하고 완화하여 좋은 삶,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데에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contemplate value and matter of practicing “justice (正義)” as a “fair (公正) and reasonable (正當) way (道理)” by starting from manifested value of “goodness (善) of the public (公共)”. “The public (公共)” is extensively related to and possessed by members of the society. “Justice” is being legally, institutionally, and conventionally fair, not being lopsided, and not having any personal feelings. In that sens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path of contemplating the path of living in which all members of the society are fair legally, institutionally, and conventionally, not lopsided, and have no personal feeling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acts and how acts were performed by gisaeng (subordinate beings) of the Joseon Dynasty who were discriminated in terms of social position and gender in the process of heading toward a fair and unbiased society. Gisaeng of the Joseon Dynasty were outraged toward unfairness to overcome legal, institutional, and conventional discrimination within discrimination in terms of social position and gender, resisted sexual infringement, and complained about unfair treatment in the obligations they undertook at a government office. In addition, they informed the outside of the identity they were pursuing, died trying to defend their will, and transformed the disposition of their age. The behaviors by gisaeng converted disposition of conventional awareness of the era and contributed in settling good living and just society by eradicating and relieving discrimination in terms of social position and ge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