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너머 횡단하다: 삶의 신학자 김 재준 (Crossing Between/Beyond: Chai-Choon Kim, A Theologian of Lif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2.09
20P 미리보기
사이/너머 횡단하다: 삶의 신학자 김 재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36권 / 3호 / 45 ~ 64페이지
    · 저자명 : 구미정

    초록

    이 글은 보수 근본주의가 횡행하는 한국 교회에서 이단아로 꼽히는 장공 김 재준의 삶과 사상을 조명하려는 것이다. 개인구원과 사회구원, 믿음과 일상, 기도와 저항, 신학과 정치 사이에 높다란‘칸막이’를 친 채 이원론적이고 자기분열적인 신앙 양태를‘정상’혹은‘정통’이라 우기는 한국 교회에서, 그는 두 영역 사이를 끊임없이 횡단하며 소통과 연대의 신앙을 다듬고자 애썼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김 재준을‘사이/너머 횡단한 삶의 신학자’라 이름 붙이고, 그가 어떻게 현존질서 너머로 나아갔으며, 교회와 사회 사이에 막힌 담을 허는 일에 온 몸을 바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김 재준에게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역사 안에 보냄 받은 존재’로서 자신을 자각하는 일과 다르지 않았다. 기독교는 범용자(凡庸者)로 하여금 역사를 품게 만드는‘의(義)의 종교’라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신념은 그로 하여금, 기독교 안에서는 보수 근본주의에 맞서 신앙의 자유를 옹호하고, 기독교 밖에서는 독재체제에 맞서 민주화를 위해 헌신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따라서 경건한 신앙과 사회참여가 별개가 아님을 온 몸으로 증언한 김 재준의 삶과 사상이야말로 해방 이후 역사를 만든 삶의 지식인의 전형이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the life and thoughts of Rev. Chai-Choon Kim. He was a theologian who was excommunicated from the conservative fundamental Korean churches as a heretic. While his ‘liberal’ theological orientation and ‘radical’ concern for social justice were often condemned by the so-called ‘orthodox’ theologians, he had constantly tried to go beyond narrow dogmatic Christian faith and bridge between individu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faith and ordinary life, prayer and resistance, and theology and politics. In that sense, the author names him as ‘a theologian of life crossing between/beyond’.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figure out how he committed himself to breaking down the wall that separated church and society.
    As a theologian, Chai-Choon Kim believed that to be a Christian means to be aware of oneself as a being to be sent into history and Christianity is understood as a religion of justice for ordinary men to embrace history. Such a belief became the driving force for him to advocate freedom against the oppressive fundamentalism in churches and defend democracy and social justice against the dictatorial power for the oppressed people. Judging from what he did to integrate faith and social justice, the author strongly confirms that he was a model of an intellectual of life who left his mark on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