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계몽기 호남삼걸의 삶과 현실인식 (Life and Reality of Three Heroes of Honam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7.04
30P 미리보기
근대계몽기 호남삼걸의 삶과 현실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39권 / 2호 / 229 ~ 258페이지
    · 저자명 : 이승용

    초록

    본고에서는 근대계몽기 호남삼걸의 삶과 교유, 현실인식과 대응을 비교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호남삼걸은 구한말 격동기에 동시대를 살아간 지식인이요, 실학자이다. 그들의 우환의식은 위기에 처한 시국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물에 대한 개별적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에도 비교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호남삼걸의 교유는 일상적 친분을 주고받는 데 그치지 않았다. 그들은 서로 시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고, 당시 현실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며 상대의 처세에 대해 비판하기도 하였다.
    호남삼걸의 현실인식과 대응의 양상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해학은 일관되게 즉각적인 대응을 추구한 현실 참여적 개혁가였고, 매천은 시대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대증지제(對症之劑)의 자세에서 애국계몽의 참여적 방향으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석정은 역사인물에 대한 회의적 사유를 통해서 시대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호남삼걸을 굳이 처세적 위치에서 가름한다면, 개혁과 실천의 현실 지향적 세계관을 가진 해학과 문장을 시대의 거울로 삼고자 한 유가 순환론적 역사관을 지닌 석정의 사이에 매천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서 개화, 교육, 실학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구체적 모습을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해학은 시무(時務)정신을 바탕으로 회복국권을 주장하였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관점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제도개혁과 신교육을 통한 민중계몽에 노력했다.
    매천은 화민(化民)정신에 의거하여 보국안민을 중요시하였다. 부국강병을 위해서 선진문물을 학습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유학과 서양의 기술을 근본과 말단으로 나누어 근본을 강조하는 절충적 입장을 보였다.
    석정은 역사적 인물에 대한 의론(議論)적 관점에서 현실을 반영하였다. 그는 시대의 변화를 인식하고 역사인물 평가를 통해 현실을 보고자 했으나, 성인의 법도에 근거하여 대안을 찾았다.
    호남삼걸은 당대의 지식인으로 현실을 회피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으로 경세사상을 구현하였다. 현실인식의 차이는 삶의 현장 체험 여부와 역사에 대한 가치관에서 찾을 수 있다. 해학은 유력생활을 통해 당시 혼란한 정국의 백성들의 삶을 직접 목도하였고, 매천과 석정은 은거적 삶으로 인해 시대를 간접적으로 청취하였다. 또한 이 둘은 역사를 삶의 거울로 삼아 매천은 당시대를 기록으로 남겼고, 석정은 문장을 통해서 시대정신을 찾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friendship, awareness of reality and response of the Three Heroes of Honam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Three Heroes of Honam are intellectuals and scholars who lived in the turbulent period. Their concern was concentrated on a crisis state of the country. For this reason, although there had been considerable studies on individuals, it is hard to find any comparative studies.
    Three Heroes of Honam’s communication was not just an ordinary friendship. They shared their views on the poetry, shared the perception of reality at the time and even criticized the opponent’s position.
    The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response of Three Heroes of Honam can be defined as follows. Haehak was a real participatory reformer who consistently pursued an immediate response, and Maecheon shifted from a sharp critique of the times and Daejungjije to a participatory direction of patriotic enlightenment. And Seokjeong tried to correct the era through skeptical thinking about historical figures. In terms of the art of living of Three Heroes of Honam, Haehak had a reality oriented world view with reform and practice. And, Seokjeong had a Confucius circular reasoning historical awareness to regard literature as a mirror of the era. Maecheon exists in the middle of the two.
    The following is a detailed view of the enlightenment, education, and practical aspects.
    Haehak claimed restoration nationality based on the spirit of Simu. He thought that people’s viewpoint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He tried to enlighten people through systematic reform and new education.
    Maecheon placed importance on the bureaucrats based on the spirit of Hwamin. He thought that people should learn advanced culture for rich country. However, he showed an eclectic position to emphasize the fundamentals by dividing the study abroad and western technology into fundamental and terminal.
    Seokjeong reflected the rea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argument about the historical person. He recognized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ried to see the real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historical figures, but he found an alternative based on the law of saints.
    Three Heroes of Honam was an intellectual of the time and embodied their ideas of governing in their own way without escaping realit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reality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life experience and in the values of history. Haehak had a direct view of the life of the confused people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Maecheon and Seokjeong indirectly listened to the era due to their retirement lives. They also viewed history as a mirror of life, and Maecheon left records of the time, and Seokjeong tried to find the spirit of the times through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