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봉래의 문학적인 삶과 삶의 문학화 (Jeon Bong-rae’s literary life and Literaturization of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0.08
30P 미리보기
전봉래의 문학적인 삶과 삶의 문학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63호 / 325 ~ 354페이지
    · 저자명 : 최호빈

    초록

    전봉래는 전봉건의 친형이자 한국전쟁 때 부산에서 자살한 시인이다. 발표한 작품도, 남아 있는 작품도 매우 적기 때문에 문학사적 기록 외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럼에도 전봉래의 생애와 문학을 검토하는 일은 다음 두 가지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첫째, 전봉래는 시인으로는 이장희에 이어 두 번째로 자살한 시인이다. 그러나 이 사실보다 중요한 것은 그가 자살을 통해 보여준 전쟁에 대한 시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예술의 역할에 대한 입장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이다. 특히 전봉래의 죽음은 친우였던 김종삼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실제로 김종삼은 평생에 걸쳐 전봉래의 죽음이 지닌 의미와 상징적 가치를 생각하며 시를 썼다. 둘째, 프랑스 문학을 전공한 전봉래는 해방공간에서 신진 작가들과 새로운 문화 담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해방기의 문단이 좌우 대립으로 일관하고 있을 때 문화적 다양성을 긍정하는 다수의 신진 작가들은 명동을 중심으로 독특한 예술 환경을 조성하고 있었다. 전후 한국문단에서 모더니즘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은 전후라는 특수하고 예외적인 상황이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은 예비된 일이었고, 여기에 전봉래는 프랑스의 현대시를 번역하고 공유하면서 일조했던 것이다.
    이 논문은 전봉래의 생애와 문학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와 관련한 자료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먼저 전봉래의 생애를 조사하고, 여러 문인의 회고문을 통해 그의 문단 활동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전봉래의 시를 분석하여 문학적 특성을 밝히고 평가한다. 그리고 전봉래와 정운삼을 혼동하고 있는 문학사의 오류를 검토한다. 「밀다원 시대」에서 김동리는 전봉래를 모델로 해서 ‘박운삼’이란 인물을 만들었다. ‘박운삼’이 휴전 후에 자살한 시인 정운삼과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에 ‘박운삼’의 모델이 정운삼이라고 잘못 알려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봉래의 서사가 정운삼에게 덧씌워지고, 이 오류가 문학사뿐만 아니라 문학작품과 각종 신문 기사 등을 통해 적잖게 반복되고 있다.

    영어초록

    Jeon Bong-Rae is Jeon Bong-Geon’s brother and poet who committed suicide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Since only a small amount of work remains, it is not well known except for literary history. Nevertheless, reviewing Jeon Bong-Rae's life and literature has significance in two ways: First, Jeon Bong-Rae is the second poet who committed suicide after Lee Jang-Hee. However, more important than this is that his self-consciousness as a poet of war and his role in the role of art suggests a great deal. In particular, the death of Jeon Bong-Rae had a lot of influence on his friend, Kim Jong-Sam. Indeed, Kim Jong-sam wrote poetry over the rest of his life, thinking about the meaning and symbolic value of Jeon Bong-Rae's death. Second, Jeon Bong-Rae, who majored in French literature, contributed to forming a new cultural discourse with emerging artists in the Liberation. When the literary worl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ere consistently confronting left and right, many young artists affirming cultural diversity were creating a unique artistic environment centered on Myeong-dong. It wasn't just because of the special and exceptional circumstances of the post-war period that modernist literature became mainstream in Korean literary world after the war. It was prepared, and Jeon Bong-rae helped in this work by translating and sharing French modern poet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ife and literature of Jeon Bong-Rae. Since there are few materials related to this, the life of Jeon Bong-Rae is first investigated, and his activities of the literary world are summarized through the writings of various writers. Next,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and evaluated by analyzing Jeon Bong-Rae's poems. In addition, the errors of literary history that confuse Jeon Bong-Rae and Jeong Un-Sam will be examined. Kim Dong-Ri made a character called 'Park Un-Sam' using Jeon Bong-Rae as a model. Because 'Park Un-Sam' has a similar name to the 'Jeong Un-Sam' who committed suicide after the ceasefire, the model of 'Park Un-Sam' is incorrectly known as Jeong Un-sam. Due to this, the story of Jeon Bong-Rae is overwritten by Jeong Un-sam. This mistake has been repeated many times not only in literary history, but also through literary works and newspaper artic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