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남산 미타사 극락전 불화를 통해 본 19세기 원당의 불화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 Geuknakjeon Hall in Mitasa temple, Seou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종남산 미타사 극락전 불화를 통해 본 19세기 원당의 불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9호 / 195 ~ 224페이지
    · 저자명 : 유경희

    초록

    서울시 성동구 옥수동에는 비구니 스님이 주석하는 사찰인 미타사가 있다. 미타사는 19세기 전반인 1824년에 실질적인 창건이 이루어졌다. 주전각인 극락전은 1863년에 神貞王后 趙氏와 그의 가문의 후원으로 중수되었다. 미타사와 지리적으로 멀지않은 두모포 쌍호정은 신정왕후 조씨가 태어난 곳이었기에 자연스럽게 미타사가 후원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1873년에는 불상의 개금과 단청불사가 이루어졌고, 1887년에는 불전을 장엄하는 6점의 불화가 일괄 조성되었다. 미타사는 1824년에 실질적인 창건이 이루어졌고 1863년에 神貞王后 趙氏와 풍양조씨 가문의 후원으로 주불전인 극락전이 중수되었다. 신정왕후는 두모포 쌍호정에서 태어났기에 인근 지역에 위치해 있던 미타사를 원당으로 하고 후원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1873년에는 불상의 개금과 단청불사가 이루어졌고, 1887년에는 불전을 장엄하는 6점의 불화가 일괄 조성되었다.
    「楊州終南山彌陀寺重建兼丹臒記」(1889년)에는 불사에 참여한 사중의 승려와 참여한 연화질, 시주질을 山中秩과 檀越秩로 체계적으로 나누어 기록되었다. 이 불사는 흥국사의 승려 濟庵應荷가 都化主가 되어 주도했는데 그는 印虛惟性의 제자다. 인허 유성은 신정왕후의 대시주로서 후원한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상의 개금(1862년)에서 證明을 맡았으며 1863년에는 化主로서 미타사 극락전 중건 불사를 이끌었다. 인허의 제자였던 응하는 이후 대방을 비롯한 미타사의 중건을 주도하였고 극락전 불화의 조성에서도 證明의 역할을 맡기도 하였다. 제암 응하와 스승인 인허 유성은 경기도 남양주 수락산 흥국사 승려였고 극락전의 불화의 제작에도 흥국사 소속 화승들이 주도하여 불사가 이루어졌다. 덕절로서 알려진 흥국사는 京山畫所로서 금곡 영환과 학허 석운, 경석 응석 등 근기지역의 역량 있는 화승을 배출한 사찰이었다. 그들의 주도로 미타사 극락전 불화가 이루어졌다.
    미타사 극락전에 봉안된 불화는 일제강점기 <총독부 공문서 미타사 귀중품 목록>에도 현재와 동일한 수량으로 불화가 수록되어 있는 바, 1887년 조성 이후 일제강점기를 지나 현재에 이르기까지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다. 미타사 극락전의 불화는 조성연대, 제작 화승, 시주질 등 당시의 불교도상과 신앙들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원당의 주불전에 봉안된 산실되지 않은 불화의 면모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In Seongdong-gu, Seoul, there is Mitasa, a temple where monk nuns preside. Mita Temple was actually founded in 1824,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Geungnakjeon, the main hall, was renovated with the support of Queen Shinjeong and the Jo clan. In Geuknakjeon, the main Buddha Hall of Mita Temple, in 1887, six Buddhist paintings admiring the Buddha Hall were created collectively. The Buddhist temple of Geungnakjeon was led by Jeam Eungha(濟庵應荷), a disciple of Inheo Yuseong(仁虛惟性), a monk at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Gyeonggi-do. Buddhist paintings were also led by monk painters belonging to Heungguksa Temple. Hakheo Seokun(鶴虛石雲), Geumgok Yeonghwan(金谷永煥), and Gyeongseok Eungseok(慶船應釋), who led the Buddhist temple of Geungnakjeon in Mitasa, were monks of Heungguksa Temple and were competent painter monks at the time.
    The enshrinement and arrangement of the Buddhist paintings in Geungnakjeon in Mitasa temple are well preserved and inherited, and are important as data to examine the beliefs and contents of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main Buddhist temple in rotal temple in the 19th century. It seems that the six Buddhist paintings of Mitasa Geuknakjeon used the originals of Buddhist paintings that were popular in the nearby region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the times in which iconography was shared. Geuknakjeon seems to have functioned as a temple for Queen Sinjeong,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we can see the aspect of undissolved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 the main Buddhist temple in royal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