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J. D. 크로산의 역사적 예수 연구 비판 (Criticism of historical Jesus study of J. D. Crossan from the point of postmodernis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8.05
40P 미리보기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J. D. 크로산의 역사적 예수 연구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선교 / 52호 / 81 ~ 120페이지
    · 저자명 : 한상석

    초록

    본 논문은 크로산(J. D. Crossan)의 역사적 예수 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복음서를 통해 나타난 예수의 모습 속에서 초자연적인 요소는 전부 비이성적 산물로 간주하여 배제한다. 크로산은 초자연적 모습을 걸러낸 온전한 인간 예수를 진정한 예수로 상정한다.
    그러나 이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구성된 역사적 예수는 신앙의 예수와 다를 것이라는 가정은 온전한 예수 이해를 불가능하게 한다. 이성만을 근본으로 하는 예수 연구는 신앙의 그리스도 이면에 숨겨진 역사적 예수를 찾는 것이 아니라, 신앙의 그리스도와 다를 뿐 아니라 복음서의 예수와도 다른 예수에 도달하게 만든다. 올바른 이성적 사고는 비이성적인 부분까지도 포함한다. 이런 통전적 사고가 이성주의에서 주장하는 합리적 사고가 될 것이다.
    우리는 예수가 그의 제자들에게 삶에 남긴 신앙의 흔적을 통해서만 예수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이 흔적들은 초기 제자들의 활동 시기에 예수의 가르침과 사역에 관한 기억을 담은 전승에 잘 나타나 있다. 예수가 발생시킨 예수에 관한 인식은 예수 본질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크로산의 주장처럼 예수는 초자연적 요소와 분리되어 이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예수의 초자연성 역시 그의 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크로산 연구 방법 즉 이성을 통해 전승으로부터 신앙을 벗겨내 신앙 없이 핵심만 남기는 작업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신앙을 벗겨내면 모든 것을 다 벗겨내게 되어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예수 연구에 있어 이성과 비이성의 구분, 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의 구분은 오히려 예수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만든다.
    이성이란 잣대를 통해서만 예수를 규정하는 것은 모더니즘적 발로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성의 한계는 명백히 드러났으며, 이 반동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이 탄생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통합과 상호작용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예수는 크로산이 그려내는 예수와 신앙의 예수 사이의 공존을 가능성하게 한다.
    이것을 밝히기 위해 먼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정의했다. 이를 통해 크로산의 역사적 예수 연구가 모더니즘이 가지는 특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음을 밝혔다. 복음서에서 초자연적 모습으로 그려지는 예수가 이성의 기준으로만 해석된다면 예수 본래의 의미를 온전히 이해 할 수 없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통전적 사고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critically examine J. D. Crossan's focus on the historical Jesus. Crossan interprets Jesus’ supernatural elements as mere irrational byproducts or even artificial corruptions, excluding them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the gospel. In his view, one can get to “true” Jesus only through such a rigorous filtering process.
    However, it becomes impossible to fully understand Jesus when we separate the historical Jesus from that of faith. Analyzing Jesus from a strictly rational point of view inevitably creates a highly divisive dissonance – the historical Jesus, the Christ of Faith, and the Christ of gospel end up becoming very different from one another. A truly rational approach should not only account for historical aspects, but also irrational, supernatural, and artificially corrupt elements. Such an integrated structure would provide the most comprehensive foundation for rational thinking.
    Our understanding of Jesus is derived from the traces of faith he left to his disciples. It was his disciples who remembered his spirits and teachings, continuing ministrie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How his followers and disciples perceived and remembered him – including the supernatural elements – is also a legitimately intrinsic part of Jesus. Thus, one cannot fully understand Jesus through Crossan’s approach, completely stripping him of all of the supernatural aspects. In order to holistically appreciate Jesus, one must seamlessly incorporate these elements.
    In short, Crossan’s research method – separating spiritual elements from the historical Jesus through strict rationality in an attempt to preserve only the most basic core religious concepts – is unsustainable in the long run. Eliminating the spiritual aspects strips Christianity of its core faith, and when you take away faith, nothing remains in Christianity. It turns out that the more we focus on distinguishing rationality from irrationality and the historical Jesus from that of faith, the more difficult it is to understand Jesus.
    A modernistic view would define Jesus only through the standards of reason. However, its limits have become clear over time, leading to the rise of postmodernism, which better embodies various elements of integration and interaction. As such, this approach enables the coexistence of the Christ of faith and that of Crossan’s view.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s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t then illustrates the extent to which Crossan’s historical Jesus relies on modernistic interpretations. As aforementioned, the lens of rationality may never allow us to fully understand Jesu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 argue for a more post-modernistic view that requires more interactive thin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선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