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대산 상원사 제석천상의 도상과 봉안처 (Origin of Iconography and Enshrinement of Indra in Sangwonsa Temple in Mt. Odae)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2.12
47P 미리보기
오대산 상원사 제석천상의 도상과 봉안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20권 / 267 ~ 313페이지
    · 저자명 : 유근자

    초록

    본 논문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 도상의 기원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조선시대 제석천이 나한전에 봉안된 기원을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석천이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시대로 석굴암 주실(主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태안사 적인선사 승탑 등에 범천과 쌍으로 표현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제석천 단독으로 등장하며 왕의 모습과 보살 도상이 융합된 형태로 조각 및 회화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제석천 도상은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제석천은 상원사 문수전 제석천상처럼 왕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단독으로 제석전(帝釋殿)에 봉안되었거나 석가삼존 및 16나한과 함께 영산전[나한전]에 모셔졌다. 이 공간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독존으로 안치되다가 후기에는 좌우 2위로 봉안되었다. ‘제석굴 설법’의 장소인 제석굴은 석가여래께서 법화경을 설한 영축산 근처에 있고, 간다라의 모하메드 나리(Mohamed Nari)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대승설법 장면에도 제석굴 설법으로 해석되는 도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예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영산전[나한전]에 제석천이 봉안된 것은, 제석천이 석가여래께 법을 청한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의 영향으로 추론하였다.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1466년에 조성되었고, 영산전 소조제석천상은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16나한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다.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상원사 창건과 관련된 보천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보천이 신성굴에서 수행한 에피소드 또한 석가여래가 제석천에게 설법한 장소인 제석굴과 상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은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하였다.본 논문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 도상의 기원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조선시대 제석천이 나한전에 봉안된 기원을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석천이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시대로 석굴암 주실(主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태안사 적인선사 승탑 등에 범천과 쌍으로 표현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제석천 단독으로 등장하며 왕의 모습과 보살 도상이 융합된 형태로 조각 및 회화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제석천 도상은 조선시대에도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제석천은 상원사 문수전 제석천상처럼 왕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단독으로 제석전(帝釋殿)에 봉안되었거나 석가삼존 및 16나한과 함께 영산전[나한전]에 모셔졌다. 이 공간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독존으로 안치되다가 후기에는 좌우 2위로 봉안되었다. ‘제석굴 설법’의 장소인 제석굴은 석가여래께서 법화경을 설한 영축산 근처에 있고, 간다라의 모하메드 나리(Mohamed Nari)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대승설법 장면에도 제석굴 설법으로 해석되는 도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예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영산전[나한전]에 제석천이 봉안된 것은, 제석천이 석가여래께 법을 청한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의 영향으로 추론하였다.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1466년에 조성되었고, 영산전 소조제석천상은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16나한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다.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상원사 창건과 관련된 보천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보천이 신성굴에서 수행한 에피소드 또한 석가여래가 제석천에게 설법한 장소인 제석굴과 상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은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of the iconography of the statue of Indra, enshrined in Manjushri Hall and Yeongsanjeon Hall of Sangwonsa Temple. In particular, in the Joseon Dynasty, the author tried to find clues as to why Indra was enshrined in the Nahanjeon Hall, from the Gandhara Buddhist images depicting the Indra’s Visit to Indrasala Cave.
    It wa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at Indra appeared in Korean Buddhist art, and it was engraved as a relief along with Brahma on the wall of main chamber of Seokguram Grotto(Gyeongju), Four Lion Three-story Stone Pagoda of Hwaeomsa Temple(Gurye), and Stupa of Master Jeokin at Taeansa Temple(Gokseong). In the Goryo Dynasty, Indra appeared alone in the form of a fusion of a king and a bodhisattva, and was created in sculpture and painting. The iconography of Indra, which was popular in the Goryo Dynasty, was inherited in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tatue of Indra was depicted in the form of a king, like the Indra in the Manjushri Hall of Sangwonsa Temple, and enshrined alone in the Indra Hall(帝釋殿) or enshrined together with Shakyamuni Buddha Triad, Sixteen Arhats, and Messenger(s) in the Yeongsanjeon Hall(靈山殿). The enshrining look in this place was adopted from the scene of Shakyamuni Preaching the Lotus Sutra at Vulture Peak(靈山會相).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dra was mainly enshrined as a single figure, and in the later Joseon period, they were enshrined as two figures on the left and right.
    Indrasala Cave is located near Vulture Peak(靈鷲山), where Shakyamuni’s preaching took place, and there is a scene presumed to be Indra’s Visit to Indrasala Cave(帝釋窟說法) in the image of Mahayana Sermon(大乘說法) excavated from Mohamed Nari in Gandhara. The origin of the fact that Indra was enshrined in Yeongsanjeon Hall and/or Nahanjeon Hall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inferred from the influence of Buddhist image representing the scene of Indra’s Visit to Indrasala Cave.
    The wooden Indra statue of Manjushri Hall is deeply related to monk Bocheon, who was involved in the founding of Sangwonsa Temple. The Sacred Cave(神聖窟) in Mt. Odae where monk Bocheon practiced is also in line with Indrasala Cave, the place where Shakyamuni Buddha preached to Indra. In conclusion, the fact that each Indra was enshrined in Manjushri Hall and Yeongsanjeon Hall of Sangwonsa Temple is interpreted to have originated from Gandharan Buddhist art representing the scene of Indra’s Visit to Indrasala Ca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