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 지우산(紙雨傘)을 활용한 공예 제품 디자인 연구 (A Study on Craft Product Design Using Traditional Korean Umbrell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3.03
20P 미리보기
전통 지우산(紙雨傘)을 활용한 공예 제품 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26권 / 1호 / 251 ~ 270페이지
    · 저자명 : 조준연, 윤성호

    초록

    고대 사회 우산은 높은 신분을 표상하는 시각적인 상징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우산을 펴고 접는 기본 구조는 현재에도 큰 변화 없이 지속되고 있지만, 한국 우산은 역사적으로 각 시대의 생활양식과 사회 문화적 맥락에 상응하는 용도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구한말 개항기를 기점으로 처음 등장한 서양 우산은 높은 휴대성을 바탕으로 우산의 대중적 유행을 선도하였다. 실용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외래 우산의 영향을 받아 전통 지우산은 크기, 구조 및 소재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나, 완벽한 방수 기능의 인조 소재와 초경량 금속 뼈대로 대량 생산된 현대 우산에 밀려 결국 단절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우산의 역사와 변화 과정의 고찰을 토대로, 한국 지우산 제작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인의 생활양식에 적합한 지우산 공예 제품 디자인을 제안하고 시제품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철기 시대부터 광복 전후까지의 우산 사료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 우산의 역사와 변화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또한 서양 우산의 유입으로 형태와 재료가 변화하던 한국 전통 지우산이 단절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윤규상이 복원한 전통 지우산 작품을 분석하여 세 가지 현재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게 지우산의 현재적 가치를 시각적 경험으로 제공하기 적합한 실내용 벽걸이 지우산 <조각우산>을 제시하였고, 끝으로 전통 지우산 재료와 제작 공정을 활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고 제품성을 검증하였다. 우산 내부에 설치가 가능한 소형 LED 조명을 별도로 설계하여 사용자가 어두운 실내 환경에서도 <조각우산>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무형유산은 수천 년 넘게 자연과 공존하며 인간의 손으로 탄생시킨 기물의 변화 과정을 담고 있다. 생활양식과 가치관의 변화를 고려한 디자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무형유산 제작 기술을 활용한 공예 제품의 창조적 계승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Umbrella, from ancient society, has long been used as a visual symbol to represent high status. Although the basic structure of opening and folding the umbrella continues without significant chang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have changed its form slightly depending on its historical uses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in lifestyle and sociocultural context. Western umbrella, first appeared in late 19th century, led the popular trend based on high practicality and personal use. Influenced by portable Western umbrella, traditional Korean umbrella attempted to match its popularity by changing its size, structure and materials, but was unsuccessful and eventually became discontin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umbrella design concept using th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craft technique, and to produce a functional prototype suitable for indoor modern lifestyle based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umbrella.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the history and the changes in Korean umbrella was conducted from Iron age to modernizing period in Korea. Reasons for the various shape changes leading to discontinuation of traditional Korean umbrella after the influx of Western umbrella was also examined. Next, by analyzing th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restored by Yoon Kyu-sang,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or Chullabuk-do, three core values were derived which may be suitable for today’s increased indoor lifestyle. Based on the three values, an indoor wall mount design concept <Jogak-Usan> was proposed in order to maximize the visual experience. Finally, a prototype was successfully produced utilizing th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verifying its product feasibility. In addition, LED light specific to <Jogak-Usan> was designed in order to be used in the dark indoor environm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vides a deep insight into the process of handmade objects in connection to na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craft products utilizing the traditional craft manufacturing technique derived from the Korean intangible heri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디자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