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五臺山 史庫本 실록의 특징과 학술적 가치 (Characteristics of the stored at Odae-san archives, and its academic valu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4.12
27P 미리보기
五臺山 史庫本 실록의 특징과 학술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7호 / 186 ~ 212페이지
    · 저자명 : 신병주

    초록

    오대산 사고본 실록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태조실록』부터 『명종실록』 까지는 완성본 직전의 교정쇄본이며, 『선조실록』 이후로는 다른 지방 사고의 실록처럼 완성본을 보관하였다. 교정쇄본을 오대산에 보관한 것은 선조대에 실록을 한꺼번에 제작하는 과정에서 많은 종이들이 필요하였고 비용 부담이 컸기 때문이었다. 『선조실록』 이후 오대산에 실록을 보관한 상황과 실록의 고출, 사각의 수리, 포쇄 등의 도서 점검 상태는 實錄形止案에 모두 기록되어 있어서 사고에서 실록을 비롯한 서책들의 구체적인 보관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다.
    오대산 사고본 실록은 일제시대인 1913년 도쿄대에 반출되었다가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대부분이 유실되고 74책이 남았다. 오대산 사고본은 『성종실록』 9책, 『중종실록』 50책과 『선조실록』 15책이 남아 있다. 오대산 사고본 실록의 특징은 조선전기 실록인 『성종실록』과 『중종실록』이 교정쇄본이라는 점이다. 주요 교정 사례는 글자의 바꿈, 글자의 추가, 글자 붙임, 띄어쓰기, 글자 뒤바꿈, 글자 경사 바로잡기 등이다. 잘못된 글자에 대해서는 붉은 글씨로 쓰거나, x, O, --- 등으로 표시한 것이 나타난다. 교정 사례를 통해 당시에 사용되었던 교정부호라든가 교정의 방식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슷한 글씨의 착각, 같은 음을 가진 한자의 착각 등 당시인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 양상을 볼 수 있었고, 중국 황제 연호를 잘못 쓴 것 등에서 활자공들은 기계적인 작업만 했음을 추론할 수가 있었다. 2006년 47책의 오대산본 실록이 일본에서 반환되어 실록의 실물 확인이 가능해지고 교정쇄본의 특징도 밝혀지게 되었다. 향후에는 오대산 사고본 실록과 다른 사고본 실록의 실물을 꼼꼼하게 비교해 보는 연구가 요청된다.

    영어초록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tored at the Odae-san Archives have two types of versions. From the Annals of king Taejo’s reign through the Annals of king Myeongjong’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tored at the Odae-san Archives have two types of versions. From the Annals of king Taejo’s reign through the Annals of king Myeongjong’s reign are in fact ‘proofread versions’ which were only awaiting the final evaluation session, while the Annals from king Seonjo’s reign and then the annals of later kings were completed versions that were officially published, same as the Annals stored in other regions’ archives. Reason for preserving proofread versions instead of the final versions was because the task of creating new copies of the entir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Sonjo heavily costed for the government and it also required a large volumnes of paper. The entire process of storing the printed Annals at Odae-san mountain, including the copying process, renovation of the storage facility, and condition of the materials at the time of storage were all recorded in the “Shillok Hyeongji-an” record. We can see in exactly what kind of manner they were stored and preserve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Kept in the Odae-san storage facility were stolen and illegally shipped out of the country, and landed in the Tokyo University in Jap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y were almost obliterated during the Gwandong Earthquake(that 생략) occurred in 1923. Surviving documents in the catastrophe were only 74 volumes, of which 9 volumes were from the Annals of king Seonjong’s region, 50 volumes were from the Annals of king Jungjong’s reign, and 15 volumes were from the Annals of king Seonjo’s reign. The first two groups of surviving volumes were the aforementioned ‘proofread version.’ Wrong letters were replaced with right ones, while some new ones were added. Portions needing corrections were highlighted in red, or checked with x or O, which show us how proofreading procedures were at the time. The most usual types of mistake made by the people of the time are evident, and in some cases the era-title for a specific Chinese emperor is mis-recorded, suggesting that the copying task was mostly undertaken by technicians. In the future, they should be further compared with Annals stored at other facilities.reign are in fact ‘proofread versions’ which were only awaiting the final evaluation session, while the Annals from king Seonjo’s reign and then the annals of later kings were completed versions that were officially published, same as the Annals stored in other regions’ archives. Reason for preserving proofread versions instead of the final versions was because the task of creating new copies of the entir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Sonjo heavily costed for the government and it also required a large volumnes of paper. The entire process of storing the printed Annals at Odae-san mountain, including the copying process, renovation of the storage facility, and condition of the materials at the time of storage were all recorded in the “Shillok Hyeongji-an” record. We can see in exactly what kind of manner they were stored and preserve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Kept in the Odae-san storage facility were stolen and illegally shipped out of the country, and landed in the Tokyo University in Jap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y were almost obliterated during the Gwandong Earthquake(that 생략) occurred in 1923. Surviving documents in the catastrophe were only 74 volumes, of which 9 volumes were from the Annals of king Seonjong’s region, 50 volumes were from the Annals of king Jungjong’s reign, and 15 volumes were from the Annals of king Seonjo’s reign. The first two groups of surviving volumes were the aforementioned ‘proofread version.’ Wrong letters were replaced with right ones, while some new ones were added. Portions needing corrections were highlighted in red, or checked with x or O, which show us how proofreading procedures were at the time. The most usual types of mistake made by the people of the time are evident, and in some cases the era-title for a specific Chinese emperor is mis-recorded, suggesting that the copying task was mostly undertaken by technicians. In the future, they should be further compared with Annals stored at other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전